외사시 환아의 가족 구성원에서 약시 위험인자 존재여부

목적: 외사시 환아의 일차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약시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굴절부등, 난시, 원시 및 사시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사시 환아 58명, 정상대조군 49명의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최대교정시력, 현성굴절이상, 사시검사를 시행하여 의미있는 인자의 유병률을 알아보았으며 대조군의 유병률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아의 가족구성원 중 65.4% (100/153명)에서 1개 이상의 약시 위험인자가 관찰되었다. 환아의 부모에서 굴절부등, 난시, 원시 및 사시가 각각 18.1% (21명), 31.1% (36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5; pp. 681 - 688
Main Authors 장선영, Sun Young Jang, 최연주, Youn Joo Choi, 김소영, So Young Kim, 장지호, Jee Ho Chang, 박성희, Song He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5.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외사시 환아의 일차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약시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굴절부등, 난시, 원시 및 사시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사시 환아 58명, 정상대조군 49명의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최대교정시력, 현성굴절이상, 사시검사를 시행하여 의미있는 인자의 유병률을 알아보았으며 대조군의 유병률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아의 가족구성원 중 65.4% (100/153명)에서 1개 이상의 약시 위험인자가 관찰되었다. 환아의 부모에서 굴절부등, 난시, 원시 및 사시가 각각 18.1% (21명), 31.1% (36명), 2.5% (3명), 11.2% (13명) 관찰되었고 형제자매에서 24.3% (9명), 24.3% (9명), 5.4% (2명), 18.9% (7명) 관찰되었다. 대조군과 비교 시 환아의 부모는 굴절부등(p=0.009), 난시(p=0.034) 및 사시가(p=0.045), 형제자매는 굴절부 등(p=0.021)과 사시(p=0.024)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외사시 환아의 일차 가족구성원에서 약시의 위험인자가 높은 비율로 존재하며, 이는 외사시 가족력을 가진 가족구성원의 안과적 선별검사의 근거가 될 수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mblyogenic risk factors in the primary family members (parents, siblings) of patients with exotropia. Methods: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imary family members including parents and siblings of 58 exotropia patients in our clinic.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nd cover-uncover test were performed. A total of 49 normal children`s family members (control group) were examined in a similar manner.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ocular finding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In 58 eligible families (153 subjects except proband), 65.4% had significant ocular findings: In parents, anisometopia, astigmatism, hyperopia, and strabismus were found at a rate of 18.1%, 31.1%, 2.5%, and 11.2%, respectively. In siblings, anisometropia, astigmatism, hyperopia, and strabismus were found at a rate of 24.3%, 24.3%, 5.4%, and 18.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arents of exotropia patients, anisometropia, astigmastim, and strabismus were observed at a higher rate. In siblings, anisometropia, and strabismus were observed at a higher rate. Conclusions: Primary family members of exotropia patients have a high prevalence of amblyogenic risk factors. The present study offers rationale for providing comprehensive eye exams for parents and children with a family history of exotropia.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5.012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5.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