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시신경유두 형태 비교

목적: 우세안과 비우세안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Cirrus HD-OCT®)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RNFL) 두께 및 시신경유두 형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대의 정상인 71명을 대상으로 양안 시력교정 후, hole-in-the-card test의 방법을 사용하여 우세안을 결정하였고, 전반적인 안과 검사 후 OCT를 시행하여 RNFL두께 및 시신경유두 형태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세안의 안압이 비우세안에 비해 높았으며(p=0.030), 나안시력, 굴절률, 안축장은 모두 양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35...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4; no. 5; pp. 784 - 788
Main Authors 이민수, Min Soo Lee, 조경진, Kyong Jin Cho, 조우형, Woo Hyung Cho, 경성은, Sung Eun Kyung, 장무환, Moo Hwan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5.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우세안과 비우세안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Cirrus HD-OCT®)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RNFL) 두께 및 시신경유두 형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대의 정상인 71명을 대상으로 양안 시력교정 후, hole-in-the-card test의 방법을 사용하여 우세안을 결정하였고, 전반적인 안과 검사 후 OCT를 시행하여 RNFL두께 및 시신경유두 형태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세안의 안압이 비우세안에 비해 높았으며(p=0.030), 나안시력, 굴절률, 안축장은 모두 양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35, 0.180, 0.850). OCT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및 시신경유두 형태는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우세안의 안압이 비우세안에 비해 높았으나, OCT로 측정한 양안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및 시신경유두 지표는 차이가 없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3;54(5):784-788>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and optic disc parameter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irrus HD-OCT®) i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Methods: Seventy-one subjects without underlying ocular disease were recruited for the present study. Ocular domin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hole-in-the-card test. Comprehensive standardized eye examinations were performed. Scans of the optic disc and RNFL were performed using OCT. Results: The mean intraocular pressure (IOP) of the dominant eye was higher than its counterpart (p = 0.02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un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p = 0.235, 0.180, 0.850). No RNFL and optic disc features were identified in the dominant from non-dominant eyes. Conclusions: Although dominant eyes tended to have higher IOP than non-dominant eyes, no consistent ocular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with the use of OCT were found.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5):784-788.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3.54.5.004
http://dx.doi.org/10.3341/jkos.2013.54.5.784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