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 결막 악성림프종 환자의 임상분석

목적: 결막에만 발생한 원발성 악성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경과, 치료 반응, 재발과 관련된 인자, 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원발성 결막 악성림프종으로 진단받은 39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1.1세였으며, 가장 많이 호소하는 주증상은 결막충혈(33.3%)이었다. 종물의 위치는 결막구석(38.5%)이 가장 많았고, 25.6%에서는 종양이 양측성으로 발생하였다. 조직검사상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9; pp. 1298 - 1306
Main Authors 양지명, Jee Myung Yang, 이제중, Je Jung Lee, 윤경철, Kyung Chul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9.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결막에만 발생한 원발성 악성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경과, 치료 반응, 재발과 관련된 인자, 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원발성 결막 악성림프종으로 진단받은 39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1.1세였으며, 가장 많이 호소하는 주증상은 결막충혈(33.3%)이었다. 종물의 위치는 결막구석(38.5%)이 가장 많았고, 25.6%에서는 종양이 양측성으로 발생하였다. 조직검사상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으로 진단된 경우(92.3%)가 가장 많았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 이후 방사선 치료(92.3%) 또는 화학요법(7.7%)을 시행 받았으며, 치료 후 100% 완전관해를 보였으나, 15.4%에서 평균 8.0 ±3.3개월 후 재발이 있었으며 추가적인 방사선 및 항암화학요법으로 완전관해를 보였다.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p<0.01)와 종양의 위치(p=0.02)가 재발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 중 건성안 (44.4%)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총 방사선 조사량(p=0.04) 및 종양의 위치(p=0.04)가 건성안의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인자였다. 결론: 원발성 결막 악성림프종은 악성도가 낮은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이 가장 많고,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만, 상대적으로 재발을 잘하며, 방사선 치료 후 합병증으로 건성안이 잘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안과학회지 2014;55(9):1298-1306> Purpose: To investigate clinical outcomes, response to treatment, and the related factors of recurrence and complication, following treatment of primary conjunctival malignant lymphom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9 patients diagnosed with primary conjunctival malignant lymphoma between January 2005 and June 201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1.1 years old.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as hyperemia (33.3%). The most common anatomical location of the mass was the fornix (38.5%) and 25.6% patients had bilateral involvement. Histopathologically,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92.3%) was the most common subtype. Every patient underwent radiotherapy (92.3%) or chemotherapy (7.7%) after surgical excision and had 100% complete remission. Local or systemic recurrence was observed in 15.4% of patients after treatment (mean 8.0 ± 3.3 months), but was completely remitted after additional radiation or chemotherapy.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and location of tum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factors for predicting tumor recurrence (p < 0.01, p = 0.02, respectively). Dry eye disease (DED) was the most common ocular complication (44.4%) after radiotherapy. Total radiation dosage and location of tumo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for developing DED after radiotherapy (both p = 0.04). Conclusions: Most conjunctival malignant lymphomas were low grade malignant MALT lymphomas that responded well to treatment but recurrence of tumor and development of DED after radiotherapy were common, therefore predicting and preparing these lymphomas is importa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9):1298-1306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4.55.9.005
http://dx.doi.org/10.3341/jkos.2014.55.9.129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