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

본 연구는 향후 건강보험 급여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으며, 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 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를 찬성(적극찬성 포함)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는 각각 92.5%, 90.8%로 나타났고, 반대(강력히 반대 포함)하는 경우는 7.5%, 9.2%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찬성 이유는 치아우식증 예방이라는 응답이 치과의사는 72.5%, 치과위생사는 72.8%로 가장 많...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5; no. 1; pp. 46 - 53
Main Authors 이선호, Sun Ho Lee, 이흥수, Heung Soo Lee, 오효원, Hyo Won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28.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478
2233-76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향후 건강보험 급여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으며, 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 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를 찬성(적극찬성 포함)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는 각각 92.5%, 90.8%로 나타났고, 반대(강력히 반대 포함)하는 경우는 7.5%, 9.2%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찬성 이유는 치아우식증 예방이라는 응답이 치과의사는 72.5%, 치과위생사는 72.8%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반대 이유는 치과의사는 수입감소(38.5%)가, 치과위생사는 치과위생사 부족으로 업무과중화(46.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적절한 연령은 초·중·고등학생(8∼19세)이라는 응답이 치과의사에서 43.2%, 치과위생사에서 45.7%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본인부담금(평균값)은 APF겔, NaF, SnF2용액 도포의 경우 치과의사가 25,782원, 치과위생사는 14,282원이었고 불소바니쉬도포는 치과의사가 31,705원, 치과위생사는 17,979원이었으며, 불소이온도입법은 치과의사는 40, 156원, 치과위생사는 21,21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급여인정 횟수에 대해 치과의사에서는 무제한 급여(37.5%)가, 치과위생사에서는 2회(31.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는 우식예방효과가 매우 크고 이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절감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전국민의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므로 건강보험 요양급여에 예방치과진료 항목으로 전문가불소도포가 포함되어야 하며,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대상 및 본인부담금은 구강보건인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workforce and the attitude concerning the health insurance benefit on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The subjects are 173 dentists and 288 dental hygienis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gree’s (including strongly agree) ratios regarding to the health insurance benefit of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was 92.5% for dentists and 90.8% for dental hygienists. Appropriate age of health insurance benefit about the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w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8∼19 years). This response ratio was high 45.7% for dentists and 43.2% for dental hygienists. Appropriate copayment (mean value) of health insurance about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coverage showed that NaF, SnF2 solution and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were 25,782 Korean Won (KRW) for dentist and 14,282 KRW for dental hygienist. Fluoride varnish copayment was 31,705 KRW for dentist and 17,979 KRW for dental hygienist. Fluoride iontophoresis copayment was 40,156 KRW for dentist, and 21,210 KRW for dental hygienist. The frequency of health insurance benefits about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was high in ‘unlimited (37.5%)’ for the dentists and ‘two times (31.3%)’ for dental hygienists. In conclusion,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should be included as one of the health insurance benefit items for oral health.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KISTI1.1003/JNL.JAKO201518564558634
G704-002151.2015.15.1.012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