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임상양상과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목적: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임상양상과 치료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이 의심되어 절제술 및 조직검사를 시행 받았던 31명 31안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증상, 병변의 침윤 정도, 형태학적 양상, 크기 등의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술방법은 단순 절제술만 시행하거나,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mitomycin C 화학요법을 병합하였다. 수술 후 재발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4; pp. 506 - 512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4.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임상양상과 치료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이 의심되어 절제술 및 조직검사를 시행 받았던 31명 31안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증상, 병변의 침윤 정도, 형태학적 양상, 크기 등의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술방법은 단순 절제술만 시행하거나,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mitomycin C 화학요법을 병합하였다. 수술 후 재발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환자의 증상은 이물감(38.7%)이 가장 많았다. 병변의 침윤 정도는 결막과 각막을 동시에 침윤한 경우가 22안(71.0%)으로 가장 많았고, 형태학적 양상은 교양성이 23안(74.2%)으로 가장 많았으며, 병변의 크기는 직경이 5 mm에서 10 mm 사이인 경우가 14안(45.2%)으로 가장 많았다. 조직학적 진단은 편평상피내암이 16안(51.6%)으로 가장 흔하였다. 연령, 성별, 병변의 양상 및 크기, 조직학적 진단은 재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단순 절제에 비해 mitomycin C 화학요법을 병합한 경우에서 유의하게 재발이 낮았다(p<0.05). 결론: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은 편평상피내암이 가장 많았으며, mitomycin C 화학요법을 병합하는 것이 수술 후 재발을 낮추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OSSN). Methods: A total of 31 eyes of 31 patients with suspected OSSN who were treated with excision and biopsy were retrospectivelyreviewed. Clinical features such as patient symptoms, invasion type, morphologic feature and size of lesion were analyzed. Allpatients were treated with simple excision or mitomycin C combination therapy.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invasion type, morphological feature, lesion size and histological diagnosis were foreignbody sensation (38.7%), combined conjunctiva and cornea type (71.0%), gelatinous type (74.2%), 5 - 10 mm in largest diameter(45.2%) and intraepithelial neoplasia (51.6%), respectively. Age, sex, morphological features, lesion size and histological diagnosishad no effect on recurrence. Mitomycin C combination therap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creased recurrencecompared to simple excision (p < 0.05). Conclusions: In OSSN, intraepithelial neoplasia was the most common subtype. Mitomycin C combination therapy was effectivein decreasing recurrence.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4.55.4.004 http://dx.doi.org/10.3341/jkos.2014.55.4.506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