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후 발생한 합병증

목적 : 황반질환에서 유리체강내로 4.0 mg triamcinolone 주사후 발생한 안압상승 및 백내장 진행등의 합병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4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6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289명 325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술 전과 술 후 1일, 7일,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에 시력과 안압을 측정하였고,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정체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 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8; no. 1; pp. 55 - 62
Main Authors 정지웅, Jee Woong Jung, 남동흔, Dong Heun Nam, 신경환, Kyung Hwan Shy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1.01.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황반질환에서 유리체강내로 4.0 mg triamcinolone 주사후 발생한 안압상승 및 백내장 진행등의 합병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4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6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289명 325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술 전과 술 후 1일, 7일,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에 시력과 안압을 측정하였고,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정체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 술 전에 비해 주사후 최고안압은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001) 술 후 1, 3, 6개월의 평균안압이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안압상승은 52안(16%)에서 발생하였다. 대부분에서 치료 후 조절되었으나 2안(0.62%)에서 섬유주절제술이 필요하였다. 수정체 혼탁의 진행이 56안(21.50%)에서 발생하였는데, 후낭하 혼탁의 경우(42안, 16.1%)가 가장 많았고, 6안(2.30%)에서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수술이 필요하였다. 요인별 연관성에서 안압 상승과 젊은 나이가(P=0.005), 백내장 진행과 당뇨병 병력이(P=0.035)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은 황반 질환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지만, 치료 결정시 안압상승 및 백내장 진행 등의 합병증과 이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안지 48(1):55-62, 2007>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complications including intraocular pressure (IOP) elevation and cataract progression, can possibly arise after 4.0 mg triamcinolone (TA) is injected into the vitreous cavity in the treatment of macular diseases, and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mprises 325 eyes of 289 patients followed for over 6 months. All patients had undergone an intravitreal TA injection between March 2004 and September 2005. Visual acuities and intraocular pressures had been measured preoperatively, and at 1 day, 7 days, 1, 3, 6, 12, and 18 months postoperatively. Likewise, changes in crystalline lenses were observed at the same periods. Results: The maximum IO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preoperative IOP (P<0.0001). The average pressure measured at 1, 3, 6, and 18 months postoperatvel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OP elevation was observed in 52 eyes (16%). This complication was improved after treatment in most cases, but 2 eyes (0.62%) required surgical repair. Cataract progression was observed at 56 eyes (21.50%);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42 eyes, 16.1%) and 6 eyes (2.3%) required surgery. Younger age (P=0.005)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P=0.03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A-induced IOP elevation and cataract progression,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intravitreal TA injection is effective in treating macular diseases, careful consideration of complications such as IOP elevation and cataract progression and their related risk factors must be taken when choosing the proper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48(1):55-62, 2007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7.48.1.003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