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를 첨가한 10% Carbamide Peroxide의 법랑질표면 변화와 미백효과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luoridated bleaching solution on the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oth. Forty-eight bovine incis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receive bleaching treatments, over a 14days period, as follows: no treatme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0; no. 2; pp. 95 - 100
Main Authors 이혜진, Hye Jin Lee, 김현대, Hyun Dae Kim, 김민영, Min Young Kim, 권태엽, Tae Yub Kwon, 김교한, Kyo Ha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30.04.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luoridated bleaching solution on the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oth. Forty-eight bovine incis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receive bleaching treatments, over a 14days period, as follows: no treatment; 10% carbamide peroxide (CP) bleaching; 10% CP containing 0.05% fluoride; and 10% CP containing 0.1% fluoride. All the specimens were highly polished and discolored with commercial COCK.Color and enamel changes were determined with colorimeter, microhardness test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omic force microscopy.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After the bleaching, bleached groups showed the color change(E*). Microhardness of 10% CP group decreased after tooth bleaching. But microhardness of containing fluoride bleached groups increased after tooth bleaching. Enamel surface of 10% CP bleached group showed any apparent morphology and roughness changes compared to the enamel which was stored in distilled water on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Fluoridated 10% Carbamide Peroxide have appreciable bleaching effect on bovine teeth and were not adversely affects enamel. Supporting influence of fluoride-containing bleaching solution on remineralization could be observed and further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in various active environments to confirm these results clinically. 본 연구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arbamide Peroxide에 NaF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 후 인공적으로 변색시킨 법랑질의 색, 경도 및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0% CP 미백처리군과 10% CP+NaF 미백처리군의 색조변화량은 미백 후 색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NBS unit로 환산해본 결과 미백처리군 모두 very much에 해당되어 임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10% CP 미백처리군은 미백처리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 값이 미백처리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불소첨가 미백군은 미백처리 전과 비교하여 표면경도 값이 거의 변하지않았다. 3. 미백처리 전 후의 법랑질 표면에 대한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백처리 후 탈회현상에 의해 법랑질 표면이 거칠어짐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미백제와 함께 불소를 적용한 처리 군에서는 미백 처리에 의해 거칠어진 법랑질 표면이 불소에 의해 재광화가 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10% CP 치아 미백은 법랑질 표면에 영향을 미쳐 미백 후 치아의 시림이나 표면의 형태변화, 경도 값의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불소를 포함한 미백제의 사용이나 치아미백 후 불소도포를 시행함으로써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를 유도하여 치아미백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KISTI1.1003/JNL.JAKO201007663822190
G704-002151.2010.10.2.003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