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안신경 부분마비 및 외향신경마비를 보인 나비굴 암종 1예
목적: 복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나비굴에 발생한 암종으로 진단된 드문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7세 남자 환자가 10일 전부터 발생한 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제일 안위에서 45 프리즘디옵터의 우안 내사시와 심한 외전장애를 보였으며 동공크기는 우안 4 mm, 좌안 2 mm로 우안의 동공이 산대되어 있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나비굴에서부터 뇌하수체샘과 터키안장(sella turcica)까지 확장된 균질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종괴가 관찰되었고, 흉부, 복부 등의 전신적 검사...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9; pp. 1401 - 140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9.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복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나비굴에 발생한 암종으로 진단된 드문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7세 남자 환자가 10일 전부터 발생한 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제일 안위에서 45 프리즘디옵터의 우안 내사시와 심한 외전장애를 보였으며 동공크기는 우안 4 mm, 좌안 2 mm로 우안의 동공이 산대되어 있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나비굴에서부터 뇌하수체샘과 터키안장(sella turcica)까지 확장된 균질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종괴가 관찰되었고, 흉부, 복부 등의 전신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은 없었다. 나비굴경유접근법(Transsphenoidal approach)으로 종양축소수술 시행하였으며, 조직검사에서 나비굴 암종으로 진단되었다. 6주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방사선치료 후 6주 뒤에 환자는 우안내사시 20 프리즘디옵터로 호전되었고, 외전시 눈운동장애 또한 부분적으로 호전을 보였다. 결론: 나비굴에 발생하는 원발성 암종에 의해 다발성 뇌신경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종양에 대한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4;55(9):1401-1405>
Purpose: To report a rare case of a patient with diplopia due to a mass in the sphenoidal sinus, histologically diagnosed as carcinoma. Case summary: A 57-year-old male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diplopia and ptosis for 10 days. He had esotropia 45 prism diopters in the primary position, markedly limited abduction, and a 4 mm dilated pupil in the right eye compared with a 2 mm pupil in the left eye.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 sphenoidal sinus mass extended into the pituitary gland and sella turcica with homogeneous intense enhancement. Metastatic workups, including CT of the head, neck, chest, and abdomen were unremarkable. He underwent a transsphenoidal approach mass debulking surgery followed by radiotherapy for 6 weeks. Histological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carcinoma. Six weeks after radiotherapy he had esotropia of 20 prism diopters in the primary position. Abduction limitation was partially recovered postoperatively. Conclusions: Diplopia may develop as a result of multiple cranial nerve palsy due to carcinoma in the sphenoidal sinus and may be improved by debulking surgery and radiation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9):1401-1405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http://dx.doi.org/10.3341/jkos.2014.55.9.1401 G704-001025.2014.55.9.004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