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목적: 간헐외사시와 동반된 하사근 기능항진증을 동시에 수술 교정해야 하는 경우, 하사근 약화술이 외직근 수술 효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관찰함으로써 외직근과 하사근의 병행 수술 시의 외직근 수술량 결정에 참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에 대하여 양안 외직근 후전술을 단독으로 받은 환자군(1군)과 간헐외사시와 동반된 하사근 기능항진증으로 양안 외직근 후전술과 양안 하사근 약화술을 받은 환자군(2군)을 대상으로, 외직근 수술량에 따른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12개월의 원거리 편위각과 편위각의 수술 전후 변화량을 비교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6; no. 2; pp. 249 - 253
Main Authors 신종훈, Jong Hoon Shin, 백혜정, Hae Jung Pai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28.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간헐외사시와 동반된 하사근 기능항진증을 동시에 수술 교정해야 하는 경우, 하사근 약화술이 외직근 수술 효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관찰함으로써 외직근과 하사근의 병행 수술 시의 외직근 수술량 결정에 참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에 대하여 양안 외직근 후전술을 단독으로 받은 환자군(1군)과 간헐외사시와 동반된 하사근 기능항진증으로 양안 외직근 후전술과 양안 하사근 약화술을 받은 환자군(2군)을 대상으로, 외직근 수술량에 따른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12개월의 원거리 편위각과 편위각의 수술 전후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1군(98명)과 2군(77명) 사이에 수술 전 편위각은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 전 인자도 차이가 없었다( p>0.05). 1군과 2군사이에 외직근 수술량에 따른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12개월에서의 편위각과 편위각의 수술 전후 변화량은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p>0.05). 결론: 하사근 약화술은 외직근 후전술 후 수평편위각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외직근 후전술과 하사근 약화술 병행시행 시단독 외직근 후전술에 비해 특별히 수술량에 대한 보정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대한안과학회지 2015;56(2):249-253>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combining inferior oblique weakening procedures with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s a surgical approach to intermittent exotropia enhances postoperative horizontal angle of deviation over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lone. Methods: Patients were allocated to one of two surgical groups: a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group (Group 1) or a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with bilateral inferior oblique weakening group (Group 2). Group differences in the angle of distance deviation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3- and 12-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operative factors or angles of deviation between Group 1 (n = 98) and Group 2 (n = 77);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the angle of deviation was observed at any postoperative time point (p > 0.05). Conclusions: Combined inferior oblique weakening procedure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horizontal angle of deviation after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revise the surgical amount of lateral rectus reces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2):249-253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5.56.2.013
http://dx.doi.org/10.3341/jkos.2015.56.2.249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