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의 인터랙션 요소 분석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캐릭터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은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 및 기능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와 캐릭터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6; pp. 715 - 724
Main Authors 추희정, Hee Jeong Choo, 전수진, Soo Jin J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Abstract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캐릭터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은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 및 기능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와 캐릭터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터랙션에 대한 논의 및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의 관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캐릭터 디자인이 마케팅 혹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기여할 수 있는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인터랙션 관련 문헌 조사를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을 인터페이스, 퍼포먼스, 경험, 참여의 네 가지 개념으로 정의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측면에서 두드러지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인터페이스와 퍼포먼스적인 관점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캐릭터의 형태적인 특성을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거나 다양하게 변하는 표정과 제스츄어를 통해 기기 사용에 더욱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터랙션의 경험과 참여적측면에서는 캐릭터에 의미 있는 스토리를 부여하거나 캐릭터를 통해 관련된 사화적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관련된 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행동 변화 및 참여를 독려하는 멸종위기 동물 배터리 사례 등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도 확장 적용되어 캐릭터와의 인터랙션이 단순한 시각적 요소로서의 활용을 넘어서 다양한 사용경험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랙션의 네 가지 측면은 캐릭터의 사용자 경험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의 적극적인 활용 및 다양한 사용자층에 어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In recent decad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diverse cases of interaction design on character design have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interaction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design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four themes of interaction design - interface, performanc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 were proposed as a framework of elements of interaction drawn from the relevant theories of interaction design ranging from social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Next, diverse cases of character design on mobile de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cases include two aspects of interaction based on the function and the purpose of character desig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ful example revealed all the four elements harmoniously. Through this study, two main contributions were presented: an illustration of using interaction elements as a lens for analyzing diverse examples in design education and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to other areas than character design.
AbstractList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캐릭터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은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 및 기능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와 캐릭터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터랙션에 대한 논의 및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의 관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캐릭터 디자인이 마케팅 혹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기여할 수 있는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인터랙션 관련 문헌 조사를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을 인터페이스, 퍼포먼스, 경험, 참여의 네 가지 개념으로 정의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측면에서 두드러지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인터페이스와 퍼포먼스적인 관점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캐릭터의 형태적인 특성을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거나 다양하게 변하는 표정과 제스츄어를 통해 기기 사용에 더욱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터랙션의 경험과 참여적측면에서는 캐릭터에 의미 있는 스토리를 부여하거나 캐릭터를 통해 관련된 사화적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관련된 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행동 변화 및 참여를 독려하는 멸종위기 동물 배터리 사례 등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도 확장 적용되어 캐릭터와의 인터랙션이 단순한 시각적 요소로서의 활용을 넘어서 다양한 사용경험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랙션의 네 가지 측면은 캐릭터의 사용자 경험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의 적극적인 활용 및 다양한 사용자층에 어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In recent decad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diverse cases of interaction design on character design have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interaction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design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four themes of interaction design – interface, performanc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 were proposed as a framework of elements of interaction drawn from the relevant theories of interaction design ranging from social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Next, diverse cases of character design on mobile de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cases include two aspects of interaction based on the function and the purpose of character desig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ful example revealed all the four elements harmoniously. Through this study, two main contributions were presented: an illustration of using interaction elements as a lens for analyzing diverse examples in design education and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to other areas than character design. KCI Citation Count: 0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캐릭터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은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 및 기능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와 캐릭터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터랙션에 대한 논의 및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의 관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캐릭터 디자인이 마케팅 혹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기여할 수 있는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인터랙션 관련 문헌 조사를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을 인터페이스, 퍼포먼스, 경험, 참여의 네 가지 개념으로 정의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측면에서 두드러지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인터페이스와 퍼포먼스적인 관점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캐릭터의 형태적인 특성을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거나 다양하게 변하는 표정과 제스츄어를 통해 기기 사용에 더욱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터랙션의 경험과 참여적측면에서는 캐릭터에 의미 있는 스토리를 부여하거나 캐릭터를 통해 관련된 사화적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관련된 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행동 변화 및 참여를 독려하는 멸종위기 동물 배터리 사례 등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도 확장 적용되어 캐릭터와의 인터랙션이 단순한 시각적 요소로서의 활용을 넘어서 다양한 사용경험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랙션의 네 가지 측면은 캐릭터의 사용자 경험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의 적극적인 활용 및 다양한 사용자층에 어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In recent decad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diverse cases of interaction design on character design have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interaction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design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four themes of interaction design - interface, performanc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 were proposed as a framework of elements of interaction drawn from the relevant theories of interaction design ranging from social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Next, diverse cases of character design on mobile de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cases include two aspects of interaction based on the function and the purpose of character desig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ful example revealed all the four elements harmoniously. Through this study, two main contributions were presented: an illustration of using interaction elements as a lens for analyzing diverse examples in design education and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to other areas than character design.
Author Soo Jin Jun
추희정
전수진
Hee Jeong Cho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추희정
– sequence: 2
  fullname: Hee Jeong Choo
– sequence: 3
  fullname: 전수진
– sequence: 4
  fullname: Soo Jin Ju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350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D9Lw0AAxQ9RsNZ-Apcs4hTI_Unubiy1aqFYKN2PuyaREG0lwcG9OoiDQ4QqjSCoiCBkECnST-Rdv4OhLU7v93g_3hZYHwwHwRqoIAqx7XKO10EFupzZzMPuJqilaaQcQiimlPAK6OqPd11kJp9ZOssW9GVuXvTrzPqdFroYm8lMP0-s-f3EMj93-u1zPipMPrZMPi1JPz2Yq7I8Zub61tLfIzPKt8FGKE_ToLbKKugdNHuNI7vdOWw16m07ZojYylGMIRwSKimGknOmKIKe70iqfEgdpYJ-gEjIlQM544oyKn1WTsRFhLkQV8He8naQhCLuR2Ioo0WeDEWciHq31xIYQscrzd2VeZFEZ4EfSXFegkwuxXFnvwkhw4gRUno7Sy-O0vRfwZgRj3r4Dzx1ff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의 인터랙션 요소 분석
Analysing Interaction Elements of Character on Mobile Devices
DocumentTitle_FL Analysing Interaction Elements of Character on Mobile Devices
EISSN 2713-5993
EndPage 72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1106
NODE11832844
338467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24-b0b8823f47a731a998b7216d0a7bd170bbece24f9b01989b787ad8bd14524851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23:39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Character
Character Marketing
캐릭터 마케팅
Mobile Devices
모바일 디바이스
인터랙션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캐릭터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24-b0b8823f47a731a998b7216d0a7bd170bbece24f9b01989b787ad8bd14524851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G704-001069.2015.16.6.041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5&idx=365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1106
nurimedia_primary_NODE11832844
kiss_primary_338467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5-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5
  text: 2015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5818169
Snippet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715
SubjectTerms Character
Character Marketing
Interaction Design
Mobile Devices
모바일 디바이스
예술일반
인터랙션 디자인
캐릭터
캐릭터 마케팅
Title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의 인터랙션 요소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84676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284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3503
Volume 1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5, 16(6), 72, pp.715-72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i9NAFB9296IXUVZx_bPk4JxKJGkmycwxTSprwRW0wt5Cpk11KTRS24sHT9WDePBQYZVWEFREEHoQWaSfyGS_g-9NsmlY9uB6SV7eezPzm_eSmTch80LILeFGmFXK1COYHXQGMa8uYovpsduTPdGNMAcYfm2x6-w8Yq09e29tvVb5amk8krc7z0_dV_I_XgUe-BV3yZ7Bs2WlwAAa_AtH8DAc_8nHtNmgnkc9jkTDoILRpk9FQBt-DVlwjawTMkVwKKZEnp1re7TBUa_Q5krbB5lSMoEGpYAKO6dA4lGh1D2HegHKOFMVqFYErx23xysywNSkQigEdqnkFei4Q3mOvOFgCWRBF4JqBF1B6mNfuEIKAJGD7SLEAqhqR7hKBKVsuko0qUo7qt0AUXq-qgZ6bq9eD8e1Voz_YvKfJEm1IKgV6HhhKc-lvNxG9DBJaq39Qa01HlRfqsBdWqRuLB6D0p7H6IIzdi5A03G_OrEIrnMnT81SzjxO5QmrTiNuvsX1RCZwy8Jg0Vkn65aJQ_q9F81V5Guq1InltcA9yauhljHXgkBfqOzBBRIIQmCN8gyCqsEQYrFzgzH-UAJGpUqA1b5ILhQrI83Lb_NLZK2fbJIH6fdv6WKazZdaOp0q6mf2-nP6Zan9OVyki4Nstkw_zbSjdzMt-_02_frjaLLI5gdaNj8EKv34PnsJFx-m2as3Wvprkk3ml0n7TrPt7-jFb0D0Pq8zXRoSVoFWj7mRa5mREFxiwqmuEbmya7qGhFEorrOekAZ-_ydhBoq6HETMxnR9pnWFbAySQXyVaK4te_Uo5sCVTBixiEAz7kjLlRa3DbZFNtEi4dM80UtYGHyLaGChsN_ZDzEZO54fJ2F_GMKS825oQQANKtul-criu_eDpolTJmfs2ulVXyfnV7ffDbIxGo7jmxDljuS28u9fV6mJR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A%A8%EB%B0%94%EC%9D%BC+%EB%94%94%EB%B0%94%EC%9D%B4%EC%8A%A4%EB%A5%BC+%EA%B8%B0%EB%B0%98%EC%9C%BC%EB%A1%9C+%ED%95%9C+%EC%BA%90%EB%A6%AD%ED%84%B0%EC%9D%98+%EC%9D%B8%ED%84%B0%EB%9E%99%EC%85%98+%EC%9A%94%EC%86%8C+%EB%B6%84%EC%84%9D&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B6%94%ED%9D%AC%EC%A0%95&rft.au=Hee+Jeong+Choo&rft.au=%EC%A0%84%EC%88%98%EC%A7%84&rft.au=Soo+Jin+Jun&rft.date=2015-12-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volume=16&rft.issue=6&rft.spage=715&rft.externalDocID=338467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