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의 인터랙션 요소 분석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캐릭터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은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 및 기능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와 캐릭터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6; pp. 715 - 72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게임 및 관련 컨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들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플랫폼의 특성 및 인터랙션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와 캐릭터간의 친숙도를 높이고 관련 제품들의 사용 및 구매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공 사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캐릭터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은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 및 기능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용자와 캐릭터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터랙션에 대한 논의 및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의 관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캐릭터 디자인이 마케팅 혹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기여할 수 있는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인터랙션 관련 문헌 조사를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을 인터페이스, 퍼포먼스, 경험, 참여의 네 가지 개념으로 정의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측면에서 두드러지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인터페이스와 퍼포먼스적인 관점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캐릭터의 형태적인 특성을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거나 다양하게 변하는 표정과 제스츄어를 통해 기기 사용에 더욱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터랙션의 경험과 참여적측면에서는 캐릭터에 의미 있는 스토리를 부여하거나 캐릭터를 통해 관련된 사화적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관련된 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행동 변화 및 참여를 독려하는 멸종위기 동물 배터리 사례 등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도 확장 적용되어 캐릭터와의 인터랙션이 단순한 시각적 요소로서의 활용을 넘어서 다양한 사용경험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랙션의 네 가지 측면은 캐릭터의 사용자 경험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디자인의 적극적인 활용 및 다양한 사용자층에 어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In recent decad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diverse cases of interaction design on character design have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interaction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design characters on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four themes of interaction design - interface, performanc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 were proposed as a framework of elements of interaction drawn from the relevant theories of interaction design ranging from social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Next, diverse cases of character design on mobile de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cases include two aspects of interaction based on the function and the purpose of character desig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ful example revealed all the four elements harmoniously. Through this study, two main contributions were presented: an illustration of using interaction elements as a lens for analyzing diverse examples in design education and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to other areas than character design.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G704-001069.2015.16.6.041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5&idx=365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