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여성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과 일반인의 인슐린 저항성, 혈중 지질 및 건강체력연령 비교 분석
이 연구는 중년 여성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과 일반인의 인슐린 저항성, 혈중 지질, 그리고 건강체력연령을 비교·분석하여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회 활동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중년 여성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 14명과 일반인 13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인슐린 저항성, 혈중 지질, 그리고 건강체력 연령 관련 변인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의 인슐린과 HOMA-IR이 일반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1). 2)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의 HDL-C가...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4; no. 1; pp. 12 - 2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3.2013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3.24.1.12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중년 여성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과 일반인의 인슐린 저항성, 혈중 지질, 그리고 건강체력연령을 비교·분석하여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회 활동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중년 여성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 14명과 일반인 13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인슐린 저항성, 혈중 지질, 그리고 건강체력 연령 관련 변인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의 인슐린과 HOMA-IR이 일반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1). 2)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의 HDL-C가 일반인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P=.068). 3) 건강체력연령의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과 일반인 간에 복부둘레(P<.05)와 사이드 스텝(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환기역치 수준에서의 산소섭취량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P=.084). 4)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과 일반인 간에 실제 연령과 건강체력 연령의 차이가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P<.05).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은 건강 체력연령이 실제 연령보다 1.79±5.49세 적게 나타난 반면, 일반인은 건강체력연령이 실제 연령보다 3.15±4.67세 많게 나타났다. 5) 평소 신체활동량과 식이섭취량은 일일 평균 단백질 섭취비율만 제외하고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회 활동 자체가 평소 신체활동량 또는 식사섭취량과 관계없이 중년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도움이 되고, 혈중 지질 특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으며, 건강체력연령을 낮추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건강체력연령이 낮춰진 것은 주로 복부지방의 감소와 민첩성의 향상에 기인한 것이며, 유산소능력 향상에도 일부 기인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Physiological effects of sports climbing, especially sports climbing club activity,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ports climbing club activity for health promotion by comparing insulin resistance, blood lipid profiles, and health fitness age between sports climbing club participants and general individuals in middle-aged, 33-50 yrs, women. Fourteen sports climbing club participants (SC) and 13 general individuals (GEN)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ubjects. Variable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blood lipid profiles, and health fitness ag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SC and GEN utilizing independent t-test.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Fasting plasma insulin and HOMA-IR were significantly (P<.01) lower in SC than GEN. 2) HDL-Cin SC tended to be higher (P=.068) than GEN. 3) Regarding predictors for health fitness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dominal circumference (P<.05) and side step (P<.01) SC and GEN.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ronological age between SC (40.57±4.18 yrs) and GEN (42.23±3.40 yrs); however, health fitness 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C (38.79±6.80 yrs) than GEN (45.38±5.94 yrs). Gap from chronological age to health fitness 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C (-1.79±5.49 yrs) and GEN (3.15±4.67 yrs).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and energy intake, except percent of protein intake, between SC and GEN. It was concluded that insulin sensitivity and possibly blood lipid profiles were improved and health fitness age was reduced by sport climbing club activity per se regardless of physical activity level and/or food intake in middle-aged women, indicating that sports climbing club activity would be beneficial for health promotion in middle-aged women. The effectiveness of sports climbing club activity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3.24.1.009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3.24.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