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췌장 질환에서 Secretin-enhance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의 임상적 유용성
목적: MRCP는 이미 여러 췌담도계 질환의 진단에서 ERCP와의 대등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직경이 가는 관의 조영에 있어서는 ERCP만큼 췌담관을 잘 조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췌관 조영 목적으로 MRCP를 시행할 때 세크레틴을 투여하면 췌장의 외분비능이 증가되고, 분비된 췌액에 의해 췌관의 확장이 일어나므로 MRCP에서 췌관을 더욱 또렷이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다양한 췌장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고식적 MRCP와 비교해 secretin enhanced MRCP (S-MRCP)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임상적...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1; no. 5; pp. 391 - 397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30.05.200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Summary: | 목적: MRCP는 이미 여러 췌담도계 질환의 진단에서 ERCP와의 대등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직경이 가는 관의 조영에 있어서는 ERCP만큼 췌담관을 잘 조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췌관 조영 목적으로 MRCP를 시행할 때 세크레틴을 투여하면 췌장의 외분비능이 증가되고, 분비된 췌액에 의해 췌관의 확장이 일어나므로 MRCP에서 췌관을 더욱 또렷이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다양한 췌장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고식적 MRCP와 비교해 secretin enhanced MRCP (S-MRCP)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임상적 측면에서 그 적응증을 명확히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췌장 질환으로 S-MRCP를 시행받은 47명의 환자를 만성 췌장염군, 분할췌군, 급성 췌장염군 및 기타 질환군으로 분류한 뒤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중 남자는 23명, 여자는 2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2.9세였다. 각종 췌장 질환군에서 세크레틴 투여 전후의 영상 화질을 뱎oor? 밼air? 밽ood붅막?명기하였고, 향상 정도를 점수로 수치화한 뒤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췌장 환자군에서 세크레틴 투여 후 영상 화질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05), 향상 정도는 만성 췌장염 환자군이 급성 췌장염이나 분할췌 환자군에 비해 작았다. 특히 췌관의 단절이 의심되는 급성 괴사성 췌장염이나 분할췌 환자에서는 세크레틴 투여 후 역동적인 영상 변화로, 진단의 민감도가 투여 전 각각 0%, 36%에서 투여후 모두 100%에 달해 높은 진단적 가치를 보여 주었다. 검사 전후로 세크레틴 투여에 따른 복통의 발생이나 췌장염의 악화는 1예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만성 췌장염이나 췌관이 종양에 이환된 경우는 이미 세크레틴 투여 전 췌관이 확장된 경우가 많았고 투여후에도 췌관의 역동성 변화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임상적 측면에서 S-MRCP의 적용은 분할췌 환자군 및 췌관 단절의 조기 진단이 필요한 급성 괴사성 췌장염에서 우선으로 행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is a non-invasive diagnostic technique for evaluation of the pancreatic duct, but it has several limitations compared with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efulness and clinical indication of secretin-enhanced MRCP (S-MRCP) in patients with various pancreatic diseases. Methods: From 2001 to 2002, S-MRCP was performed in 47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group 1, n=19), pancreas divisum (group 2, n=11), acute pancreatitis (group 3, n=8), and other pancreatic diseases (group 4, n=9). Image quality and presence of pancreas divisum were analyzed before and 10 minutes after the IV administration of 1 CU/kg secretin. Size of the main pancreatic duct and improvement scale before and after secretin stimulation were measured quantitatively. Results: After administration of secretin, image qua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our groups. However, suc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of chronic pancreatitis than in other groups. The S-MRCP has changed treatment pla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cute necrotizing pancreatitis or pancreas divisum.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secretin improves visualization of all pancreatic disease. Especiallys, S-MRCP would be useful as a primary diagnostics tool for assessment of patients to be suspected of having acute necrotizing pancreatitis or pancreas divisum.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391-397)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3.41.5.013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