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트레드밀 운동이 중추와 말초조직에서 ECS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변화에 따른 중추와 말초 조직에서 Endocannabinoid system(ECS)의 주요 구성인자인 monoglyceride lipase(MGL), fatty acid amidohydrolase(FAAH)의 변화와 그 수용체의 활성수준을 살펴보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한 개선 효과를 분자 생물학적 차원에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동물은 4주령 된 수컷 C57/black mouse 40마리를 분양 받아 CO군(control, n=10)과 HF...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4; no. 2; pp. 185 - 19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6.2013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변화에 따른 중추와 말초 조직에서 Endocannabinoid system(ECS)의 주요 구성인자인 monoglyceride lipase(MGL), fatty acid amidohydrolase(FAAH)의 변화와 그 수용체의 활성수준을 살펴보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한 개선 효과를 분자 생물학적 차원에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동물은 4주령 된 수컷 C57/black mouse 40마리를 분양 받아 CO군(control, n=10)과 HF군(high fat diet, n=30)으로 분류하여 45%의 고지방 식이를 이용하여 6주간 비만을 유도하였다. 비만유도 후 HF군(n=10), HFT군(HF+training, n=10), HFND군(HF → normal diet, n=10)으로 재분류하여, 8주간 경사도 0°의 조건에서 주 5일, 1일 40분씩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HF군, HFT군, 그리고 HFND군은 CO군에 비하여 체중이 유의하게(p<0.05) 증가 하였으며, 시상하부의 CB1과 복부내장지방의 FAAH가 CO군에 비하여, HF군, HFT군 그리고 HFND군에서 유의하게 높게(p<0.05)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고지방식이로 식욕통제와 지방대사에 악영향을 미치는 시상하부의 CB1과 복부내장지방의 FAAH가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은 ECS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식이변화 역시 ECS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운동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고지방식이에서의 식이변화와 운동을 복합 처치한 디자인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tory treadmill exercise on endocannabinoid system of adipose tissue and hypothalamus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mice. The adopt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heads of four week old C57/black mice. Induced obesity through 6 weeks of a high fat diet while the other group were fed with a normal diet. After 6 weeks, all study mice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which were the control group(CO, n=10), high fat diet(HF, n=10), high fat diet-training(HFT, n=10), high fat diet-normal diet(HFND) groups. Treadmill running was performed during 4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HF, HFT, HFND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increased in body weight and significantly(p<0.05) higher CB1 receptor of the hypothalamus and FAAH of adipose tissue than CO group. Therefore, we found that the increase in CB1 receptor of the hypothalamus and FAAH of adipose tissue which is effects on the control of appetite and fat metabolism by continued high fat diet. However, treadmill training for 8 weeks and dietary changes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ECS system. Thu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thought that the study will be needed showing the synergistic effect of exercise through combined treatment of dietary change and exercise in high fat diet.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3.24.2.015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3.24.2.1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