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의 정도와 혈청 히알루론산치를 이용한 간섬유화의 예측
목적: 만성 간질환 및 간이식 환자에서 혈청 히알루론산치(HA)와 간조직검사상 섬유화 정도 및 혈액학, 생화학적 간기능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이의 임상적 의의와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0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환별로는 만성 간염군 57예, 간경변군 12예, 간암군 21예, 간이식군 12예였다. HA를 측정하여 조직검사상 섬유화 정도, 혈청 ALT, 혈청 알부민, 혈소판 수, 프로트롬빈 시간과 비교하였다. HA는 효소결합성 단백질 분석법을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 키트로 측정하였다. 결과: 만성 간...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2; no. 6; pp. 510 - 51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25.12.200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Summary: | 목적: 만성 간질환 및 간이식 환자에서 혈청 히알루론산치(HA)와 간조직검사상 섬유화 정도 및 혈액학, 생화학적 간기능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이의 임상적 의의와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0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환별로는 만성 간염군 57예, 간경변군 12예, 간암군 21예, 간이식군 12예였다. HA를 측정하여 조직검사상 섬유화 정도, 혈청 ALT, 혈청 알부민, 혈소판 수, 프로트롬빈 시간과 비교하였다. HA는 효소결합성 단백질 분석법을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 키트로 측정하였다. 결과: 만성 간염군, 간경변군, 간암군, 간이식군에서 HA는 각각 73.11±86.52, 110.77±77.05, 248.03±236.75, 125.18±82.68 ng/mL이었으며, 각 군의 평균은 만성 간염군과 간암군 사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만성 간염군과 간경변군을 합쳐서 간암군과 비교했을 경우에도 간암군의 HA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2). 한편, 만성 간염군 내에서 B형과 nonB, nonC형의 HA를 비교했을 경우(p=0.482)나 간이식군내에서 급성 거부반응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HA를 비교했을 경우(p=0.46)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검사상 섬유화 정도에 따른 stage 0, 1, 3, 4에서 HA는 각각 76.74±72.68, 67.26±55.10, 161.84±188.05, 167.52±197.97 ng/mL이었으며, stage 4인 경우 stage 0 및 1의 경우보다 HA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3, 0.001). 혈청 알부민은 HA와 비교적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나이와 섬유화 정도는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소판 수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혈청 ALT와 프로트롬빈 시간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알부민(≥3.5 g/dL vs <3.5 g/dL), 나이(≥40 vs <40), 혈소판(≥150,000/mm3 vs <150000/mm3)을 수치에 따라 각각 두 군으로 나누어 두 군 사이의 HA를 비교한 결과 각각 두 군 사이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만성 간질환에서 HA는 조직검사상 섬유화 정도와 비교적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간의 섬유화 정도와 간기능의 예비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비침습적 검사 방법으로 의미가 있다.
Backgrounds/Aims: The extent of hepatic fibrosis is important in chronic liver disease. Liver biopsy is essential for diagnosis of fibrosis. However, biopsy is invasive and may not represent the whole liver state. Serum hyaluronic acid (HA), a major component of connective tissues, was introduced as a useful non-invasive index of hepatic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HA, the degree of fibrosis, several hematolog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or post state liver transplantation (PSLT). Methods: Total 102 cas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57 chronic hepatitis (CH), 12 cirrhosis, 21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12 PSLT. HA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binding protein assay and evaluated in relation the degree of fibrosis, several hematolog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Results: Among four groups, HCC showed the highest HA and HA of HCC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 The degree of fibrosis were correlated with HA. HA was correlated with age, platelet count and albumin but, not with ALT and P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HA and the presence of acute rejection in liver transplantation. Conclusions: In chronic liver diseases, HA is a useful non-invasive index of hepatic fibrosis and disease severity.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510-518)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3.42.6.012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