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장애 환자에 대한 맥브라이드 장애판정 적용의 문제점
최근 5년간 순천향대학부속병원에서 장애판정 및 노동력 상실평가를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판정 원인요소의 분포는 시력저하에 의한 경우가 27예(44.2%), 시야축소는 5예(8.1%), 안구운동 저하는 15예(24.5%), 복합적 요소는 14예(22.9%)를 보였다. 노동장애율 산정오차는 전체 산전중 9예(14.7%)였으며 오차율은 평균 10.2%였다. 원인으로는 효율과 장애율 혼돈에 의한 산출, 인공 수정체 시효율 환산결여, 복시시야계 산정오차 등 이였다. 조기 노동장애율 산정의 경우는 9예(...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8; no. 7; pp. 1273 - 1279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7.199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최근 5년간 순천향대학부속병원에서 장애판정 및 노동력 상실평가를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판정 원인요소의 분포는 시력저하에 의한 경우가 27예(44.2%), 시야축소는 5예(8.1%), 안구운동 저하는 15예(24.5%), 복합적 요소는 14예(22.9%)를 보였다. 노동장애율 산정오차는 전체 산전중 9예(14.7%)였으며 오차율은 평균 10.2%였다. 원인으로는 효율과 장애율 혼돈에 의한 산출, 인공 수정체 시효율 환산결여, 복시시야계 산정오차 등 이였다. 조기 노동장애율 산정의 경우는 9예(14.7%)였고 향후 치료비 산출 요망서가 필요했던 경우는 19예(31.3%)였으며 꾀병의 빈도는 11예(18.0%)로 시력저하를 호소한 경우가 8예(72.7%)로써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노동력 상실평가 적용에 있어서 산정오차, 조기 노동장애율 판정, 꾀병, 향후 치료비 산정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며 현 실정에 적합한 평가 기준과 평가방법, 평가사항의 확립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한안지 38:1273~1279, 1997).
We had carried out a retrospective analysis which consisted of 61 consecutive cases on disability evaluated and estimation of loss of efficiency in this hospital for the last five years. Factors in disability
evaluation were decreased visual acuity (27 patients, 44.2%), contracted visual field (5 patients, 8.1%) and disabled ocular motility (15 patients,24.5%). Estimation errors in disability evaluation occurred in 9 (14.7%) in all cases. The average error rate was 10.2%. The causes were confusion of efficiency with loss of efficiency, conversion deficiency of 75% visual efficiency in pseudophakic eye and estimation errors in diplopia field test.Beforehead estimation cases in disability evaluation were 9 cases (4.7%).The case which needed request of calculation of medical fee after this were 19 cases (31.3%). The incidence of malingering were observed in 11 patients (18.0%) and the major factor of malingering was decreased visual acuity (8 patients, 72.7%). In conclusion, with the use of the estimation of loss of efficiency, we presented many problems such as estimation errors, beforehead estimation cases in disability evaluation, maligerings, request of calculation of medical fee after this, and etc. Therefore, in accord with the actual condition, we request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ization, methods, articles of estimation(J Korean Ophthalmol Soc 38:1273~1279, 1997).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