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소관 협착 유무에 따른 누기수술의 수술성적

목적: 비루관 폐쇄시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 유무에 따른 누기수술의 수술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안과에서 1996년 1월에서 2000년 12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피부접근법을 통한 누낭비강문합술과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관찰이 가능했던 175안에서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없이 비루관 폐쇄만 있는 126안을 1군으로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을 동반한 49안을 2군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Chi-squre Test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결과: 해부학적 수술성공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3; no. 12; pp. 2361 - 2368
Main Authors 박도훈, Do Hoon Park, 장한기, Han Ki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12.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비루관 폐쇄시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 유무에 따른 누기수술의 수술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안과에서 1996년 1월에서 2000년 12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피부접근법을 통한 누낭비강문합술과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관찰이 가능했던 175안에서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없이 비루관 폐쇄만 있는 126안을 1군으로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을 동반한 49안을 2군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Chi-squre Test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결과: 해부학적 수술성공률은 1군에서 96.0%(121/126) 2군에서 85.7%(42/49)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기능적 수술성공률은 1군에서 91.3%(115/126), 2군에서 73.5%(36/49)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누낭 크기에 따른 수술성공률은 1군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누낭 크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협척 부위별로는 총누소관 협착시 해부학적, 기능적 수술성공률은 93.1%(27/29)과 79.3%(23/29)로 다른 부위 협착시보다 수술성공률이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누소관이나 총누소관의 협착 여부가 누기수술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총누소관 협착을 동반한 비루관 폐쇄 시에는 일차적으로 소식자를 이용해 협착 부위를 개통 후 누낭비강연결술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surgical results of lacrimal surgery for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with and without canalicular stenosis. Methods: We surveyed 175 eyes which underwent external dacryocystorhinostomy with silicone tube intubation from January 1996 through December 2000 retrospectively. Group 1 encluded 126 eyes in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without canalicular or common canalicular stenosis and group 2 included 47 eyes with canalicular of common canalicular stenosis. We check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Chi-squre Test. Results: Anatomical success rate was 96.0% (121/126) in group 1 and 85.7%(42/49) in group 2;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nd functional success rate was 91.3% (115/126) in group 1 and 73.5% (36/49) in group 2; it had statistic significance (p<0.05). The surgical success rate depending on the size of sac was not statsically significant in group 1, but it had statstic significance in total group (p<0.05). In site of stenosis, andtomical and functional success rate ware 93.1%(27/29) and 79.37% (23/29) in common canalicular senosis. It was higer surgical success rate than other site, but it had no statistic significance. Conclusions: The canalicular of common conalicular stenosis is important factor in success of lacrimal surgery.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o open the canalicular stenosis by probing prior to performing dacryocystorhinostomy.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