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에서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후 발생한 각막 혼탁 및 교원질 생성에 대한 합성 금속단백분해효소 억제제 및 사이클로스포린A의 효과

실험적 약제인 합성 금속단백분해효소 억제제(synthetic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IMP)와 사이클로스포린 A(CsA)가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후 발생하는 각막 혼탁 및 교원질 생서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60 가토안에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을 시행하고 투여 약물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시행하였다. A군은 SIMP를, B군은 CsA를 투여하였으며, C군은 두 가지를 다 투여하였고, D군은 대조군으로 이들 약제의 용매만 투여하였다. 별도의 16 가토안을 4군으로 나누어 이들은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8; no. 5; pp. 721 - 733
Main Authors 장진호, Jin Ho Chang, 위원량, Won Ryang Wee, 정흠, Hum Chung, 이진학, Jin Ha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5.199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실험적 약제인 합성 금속단백분해효소 억제제(synthetic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IMP)와 사이클로스포린 A(CsA)가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후 발생하는 각막 혼탁 및 교원질 생서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60 가토안에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을 시행하고 투여 약물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시행하였다. A군은 SIMP를, B군은 CsA를 투여하였으며, C군은 두 가지를 다 투여하였고, D군은 대조군으로 이들 약제의 용매만 투여하였다. 별도의 16 가토안을 4군으로 나누어 이들은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E군은 SIMP를, F군은 CsA를 투여하였으며, G군은 두 가지를 다 투여하였고, H군은 대조군으로 이들 약제의용매만 투여하였다. 수술후 1주, 2주, 4주, 6주에 각 군의 가토안에 대하여 세극등 검사, 광학현미경 검사, III, IV, VI형 교원질에 대한 면 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SIMP를 투여한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세극등 검사상 각막의 혼탁도 적었고(P<0.05), 광학현미경 소견상 수술 부위의 상피하 실질에 비정상적인 세포의 기질의 침착도 적었다(P<0.05).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III, IV형 교원질이 수술 부위의 각막 실질에서 발겨뇌었고, III형 교원지른 SIMP를 투여한 군에서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발견된 빈도가 더 적었다. CsA 는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 사이에 각막 혼탁의 발생, 수술 부위의 상피하 각막실질에 신생 세포의 기질 및 III형 교원질의 침착 양상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SIMP는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후 수술 부위의 각막 실질에 III형 교원질의 침착을 억제하고 각막 혼탁을 감소시킨다는 결론을 얻었다(한안지 38:721~733, 1997). Photorefractive keratectomy(PRK) was performed on 60 rabbit eyes, and syn-thetic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IMP) and cyclosporin A(CsA) was topically administered and their effects on coreneal haze were evaluated. They were randeomized to one of four groups: group A received topical SIMP, group B received topical CsA, group C received both SIMP and CsA, and group D received vehicles. At one, two, four, and six weeks after surgery, slit lamp examination was performed, and haze gradings were recorded. Light microscopy, together with immunohistochemistry using antibodies against collagen types III, IV, and VI were performed in corneas from all groups. Slit lamp examination and light microscopy revealed that SIMP significantly reduced corneal haze after PRK and subepithelial deposition of newly synthesized extracellular matrix, but CsA did not. By immunohistochemistry, deposition of types III and IV collagen was noted in ablated area of all groups. Positive staining for type III collagen was less frequent in groups treated with SIMP than in groups not treated with SIMP. In conclusion, SIMP significantly reduced the synthesis of type III collagen in treated area as well as corneal haze after excimer laser PRK in rabbits(J Korean Ophthalmol Soc 38:721~733, 1997).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