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단층촬영을 이용한 누액배출계의 해부학적 연구

목적 : 누액배출계 이상질환의 수술적 치료인 누낭비강문합술시 중요한 해부학적 자료를 파악하기 위해 누낭의 크기와 주변골의 구성 및 두께를 안와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안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정상안 115안을 대상으로 누낭의 전후, 좌우폭과 길이 그리고 주변골의 두께를 상.중.하부에서 측정하고 Haller cell의 빈도를 구하였다. 결과 : 측정된 누낭의 크기의 평균치는 전후폭 5.96±1.26mm, 좌우폭 3.72±0.92mm, 길이는 10.45±1.96mm이였으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3; no. 11; pp. 2112 - 2118
Main Authors 유인천, In Chon You, 정상기, Sang Ki Jeong, 서정진, Jeong Jin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11.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누액배출계 이상질환의 수술적 치료인 누낭비강문합술시 중요한 해부학적 자료를 파악하기 위해 누낭의 크기와 주변골의 구성 및 두께를 안와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안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정상안 115안을 대상으로 누낭의 전후, 좌우폭과 길이 그리고 주변골의 두께를 상.중.하부에서 측정하고 Haller cell의 빈도를 구하였다. 결과 : 측정된 누낭의 크기의 평균치는 전후폭 5.96±1.26mm, 좌우폭 3.72±0.92mm, 길이는 10.45±1.96mm이였으며 주변골의 두께의 평균치는 누낭 상부 6.46±1.40 mm, 중심부 3.24±1.11 mm, 하부 0.78±0.23 mm이였다. 누낭의 크기와 주변골의 두께는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측정되었고, 60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며 Haller cell의 빈도는 13.9%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한국인의 누낭의 크기는 외국인보다 약간 작았고, 한국인 남자의 누낭 주변골의 두께가 여자보다 더 두꺼워 남자에서 골공 형성이 더 어려울 것이므로 이에 대해 drill등을 사용하여 골공 형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 We could measure diameters of lacrimal sac and surrounding bone thickness of normal Korean with accurate data by using orbital CT. Methods : We measured the lacrimal sac, surrounding bone thickness, and frequency of Haller cell with thin-section computed tomography examinations in 115 normal Korean orbits with no signs of pathology related to the lacrimal drainage system for 1999 to 2001. Results : The mean length of lacrimal sac was 10.45±1.96 mm, A-P width was 5.96±1.26 mm, L-R width was 3.72±0.92 mm. The srrounding bone thickness of upper portion of lacrimal sac was 6.46±1.40 mm, middle portion was 3.24±1.11 mm, lower portion was 0.78±0.23 mm. The frequency of Haller cell was 13.9%. The diameters of lacrimal sac and surrounding bone thickness were larger in males than females, and increasing tendency with aging. Conclusion : In this study, Korean lacrimal sac size was slightly smaller than the caucasian and Korean male`s surrounding bone thickness was thicker than female. These data will be very helpful in making appropriate osteotomy by using the drill during dacryocystorhinostomy and avoiding unnicessary manipulation.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