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측두동맥 혈류차단이 안내혈류에 미치는 효과
안구내로 들어오는 혈류는 대부분 안동맥을 통해 공급된다.따라서 망막모세혈관의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안동맥 혈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저자들은 천측두동맥혈류를 차단시킨 후 망막모세혈관의 혈류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먼저 정상안 5안을 대상으로 천측두동맥혈류차단 후 안동맥과 망막미세혈류변화를 칼라도플러와 Heidelberg Retina Flowmeter(HRF)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천측두동맥혈류차단은 외부에서 박동을 확인한 후 압박하였으며 박동소실 후 10초 뒤 그 변화를 측정하였다.천측...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0; no. 6; pp. 1559 - 1567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6.199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안구내로 들어오는 혈류는 대부분 안동맥을 통해 공급된다.따라서 망막모세혈관의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안동맥 혈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저자들은 천측두동맥혈류를 차단시킨 후 망막모세혈관의 혈류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먼저 정상안 5안을 대상으로 천측두동맥혈류차단 후 안동맥과 망막미세혈류변화를 칼라도플러와 Heidelberg Retina Flowmeter(HRF)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천측두동맥혈류차단은 외부에서 박동을 확인한 후 압박하였으며 박동소실 후 10초 뒤 그 변화를 측정하였다.천측두동맥 압박 후 안동맥의 양(volume,㎖/ min)은 평균 59.3%증가하였으며,속도(velocity,㎝/sec)중 수축기속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이완기속도는 평균 2 9 .6 %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0 .0 3 9 ).망막미세혈류 변화를 알아보기위하여 황반부에서 중심와를 기점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부위와 시신경유두부위에서 양(volume),흐름(flow),속도(velocity)를 측정하였다.망막에서의 양,흐름,속도는 각각 평균 87.9%,91.5%,92.6%,시신경유두부위에서는 각각 평균 110.1%,140.7%,139.5%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0.05).망막미세혈류의 자가조절기능이 감소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당뇨환자 5안에서 역시 천측두동맥혈류차단 후 H R F를 이용하여 망막미세혈류변화를 측정하였다.양,흐름,속도에서 각각 평균 114.25%,118.30%,117.6 %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Wilcoxon Signed Ranks test,p 〉0.05).이상의 결과로 천측두동맥 압박후 안동맥혈류는 증가하지만 망막미세혈류변화는 의의있게 증가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한안지 40:1559~1567,1999).
To increase retinal blood flow,we attempted to increase blood flow of ophthalmic artery which in the major vascular supply to the eyeball.The authors evaluated changes in blood flow of ophthalmic
artery and retinal capillary after compression of superfi- cial temporal artery.In 5 normal healthy subjects,the superficial temporal artery was compressed for 10seconds and the blood flow was measured with color doppler imaging and Heidelberg Retinal Flowmeter(HRF).After compression,the
mean volume of ophthalmic artery was increased by 59.3%and the mean change of diastolic velo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29.6%.Systolic velocity did not changing significantly.For evaluation of retinal microcirculation,we measured volume,flow,velocity in retina and optic nerve head.The relative ratio in changes of volume,flow,velocity were 87.9%,91.5%,92.6%,in retina respectively and 110.1%,140.7%,139.5%,respectively in optic nerve head.These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P 〉0.05).In 5 diabetic patients with damaged autoregulatory mechanism,the relative ratio in changes of volume,flow,velocity were 114.25%,118.30%,117.6%,respectively.These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blood flow in ophthalmic artery by compressing superficial temporal artery did not increase retinal blood flow(J Korean Ophthalmol Soc 40:1559~1567,1999).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