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시야계 OCTOPUS의 G1 프로그램에 의한 정상인의 시야검사
저자들은 정적 자동시야계를 한국인 정상인에게 시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향후 임상에 이용하기 위하여 정상인 40명 70안을 대상으로 OCTOPUS 2000R 시야계의 G1 프로그램 자동시야검사를 2회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동시야계의 4개의 표준지표 각각의 평균값은 MD가 3.83±1.15dB, LV가 3.50±1.77dB2, CLV가 1.36±1.01dB2, Sf가 1.40±0.36dB 이었으며, 70안 중에서 MD가 67안(95.7%)에서 기계에서 정한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었으며, 첫 번째 실시한 시야검사와 두 번...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7; no. 4; pp. 636 - 64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4.199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Loading…
Summary: | 저자들은 정적 자동시야계를 한국인 정상인에게 시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향후 임상에 이용하기 위하여 정상인 40명 70안을 대상으로 OCTOPUS 2000R 시야계의 G1 프로그램 자동시야검사를 2회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동시야계의 4개의 표준지표 각각의 평균값은 MD가 3.83±1.15dB, LV가 3.50±1.77dB2,
CLV가 1.36±1.01dB2, Sf가 1.40±0.36dB 이었으며, 70안 중에서 MD가 67안(95.7%)에서 기계에서 정한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었으며, 첫 번째 실시한 시야검사와 두 번째 시야검사 사이에는 이들 표준지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p>0.05). 표준지표들과 안압 및 굴절 이상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표준지표 MD와 근시정도 사이에 상관계수(r)가 0.23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동시야검사의 지표나 분석방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임상
적인 다른 검사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한안지 37:636∼642, 1996).
To determine the normal interindividual variability of global visual field indices in normal subjects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visual field changes with intraocular pressure and myopic degrees, OCTOPUS 2000R automated perimetry was tasted in 70 eyes of 40 normal subjects who had undergone one previous visual field on two separate sessions. The average value of Mean (efect(MD) was 3.83±1.15dB. Three eyes(4.3%) were within 2dB of the normal.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Global indices between the 1st and the 2nd fields, there were no differences(p>0.05). MD and myopic degre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0.237,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sual field indice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and used as one adjunctive parameter with other clinical findings(J Korean Ophthalmol Soc 37:636∼642, 1996).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