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망막병증과 관련된 근시의 진행양상

목적: 미숙아 망막병증이 있었던 환아에서 근시는 흔히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근시의 연령증가에 따른 진행양상과 속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동일병원에서 미숙아 망막병증으로 진단받고 적어도 5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며 -0.5 Diopter(D)이상의 근시가 있는 환아 36명, 7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숙아 망막병증 4,5기의 환아는 제외하였다. 대상환아의 굴절검사값을 6개월 단위로 연령증가에 따라 연속적으로 기록하여 자료화하였다. 미숙아 망막병증의 단계와 치료방법, 그리고 연령대에 따라 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3; no. 11; pp. 2234 - 2240
Main Authors 조성일, Sung Il Cho, 임현택, Hyun Taek Lim, 박성희, Song He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11.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미숙아 망막병증이 있었던 환아에서 근시는 흔히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근시의 연령증가에 따른 진행양상과 속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동일병원에서 미숙아 망막병증으로 진단받고 적어도 5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며 -0.5 Diopter(D)이상의 근시가 있는 환아 36명, 7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숙아 망막병증 4,5기의 환아는 제외하였다. 대상환아의 굴절검사값을 6개월 단위로 연령증가에 따라 연속적으로 기록하여 자료화하였다. 미숙아 망막병증의 단계와 치료방법, 그리고 연령대에 따라 연간 근시 진행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전체의 평균적 근시 진행속도는 -0.53 D/year였다. 망막병증의 정도와 근시의 진행율은 비례하지 않았다. 단, 냉동응고 치료를 받은 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빠른 근시 진행율을 보였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5세까지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5세 이후에는 좀더 완만히 진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등시가 있는 환아들은 비록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지만 양안의 굴절력 차이가 연령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근시 진행속도는 미숙아 망막병증의 정도와 비례하지는 않았으나 냉동응고 치료를 받은 경우는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rates of myopic progression with increasing age in children who have had history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Methods: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f 72 eyes in 36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ROP. Inclusion criteria were myopia over -0.5 diopter and thd children that could have been followed for at least 5 years or longer. The subjects with stage 4 or 5 ROP were excluded. Data on the retinoscopic refractions at every 6 month in each patient were recorded. We measured the annual rates of myopic progression in each subgroup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ROP, treatment modality, and the defferent age intervals. Results: Overall annual rates of myopic progression was -0.53 D/year. The severity of ROP was not correalted with the degree of myopia and the rates of myopic progression. In terms of the rates of myopic progress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subgroups who were treated by cryotherapy. The myopia in age group over 5 years showed less progression than that in age group under 5 years. In the patients with anisometropia,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discrepancy in the refractions of both eyes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ge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he rate of myopic progression wa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ROP. But the myopia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cryotherapy showed a marked progression with significantly higher rate.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