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모델에서 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진단에 있어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 ( PCR ) 검사의 유용성

단순포진 각막염의 토끼 모델에서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 진단에 유용한 지를 검정해 보고 또한 DNA polymerase gene (POL)과 Latency Associated Transcript gene(LAT)에 각각 특이적인 두 종류의 primer를 이용한 PCR을 실시하여 두가지 primer에 의한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총 8마리 토끼의 한쪽 눈에만 단순포진 바이러스(Type 1, F strain, ATCC VR-73)를 접종하여 단순포진 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1; pp. 137 - 144
Main Authors 한태원, Tae Won Hahn, 허재용, Jae Yong Heo, 김수진, Su Jin Kim, 신은미, Eun Mi Shin, 사우진, Woo Jin Sa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200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단순포진 각막염의 토끼 모델에서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 진단에 유용한 지를 검정해 보고 또한 DNA polymerase gene (POL)과 Latency Associated Transcript gene(LAT)에 각각 특이적인 두 종류의 primer를 이용한 PCR을 실시하여 두가지 primer에 의한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총 8마리 토끼의 한쪽 눈에만 단순포진 바이러스(Type 1, F strain, ATCC VR-73)를 접종하여 단순포진 각막염을 유발시켰고, 반대쪽 눈은 대조안으로 이용하였다.바이러스 감염 후 1, 3, 5, 7, 10일에 세극등 현미경으로 각막의 병변을 관찰하고 눈물과 각막찰과물을 채취하여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POL primer를 이용한 PCR의 민감도는 눈물과 각막찰과물에서 모두 100 %였고, 특이도는 80%였으며, LAT primer를 이용한 PCR의 민감도는 눈물에서 17.5%, 각막찰과물에서 85%였고, 특이도는 100 %였다. 상기의 결과로 보아 토끼의 단순포진 각막염 모델에서 PCR 검사는 단순포진 각막염의 조기 진단에 유용한 진단방법이었고 검사의 민감도면에서는 POL primer가 LAT primer보다 우수하였으나 특이도면에서는 LAT primer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단순포진 각막염의 진단에 있어 눈물보다는 각막찰과물에 대한 PCR 검사가 더 유용하였다(한안지 42:137~144, 2001).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PCR)in early diagnosis of herpes simplex keratitis(HSK) in rabbit model and compar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CR in two kinds of primers. Only one eye of 8 rabbits was inoculated with HSV Type 1(F strain, ATCC VR-73) to induce HSK, and the other eye was used as control. Rabbit cornea was examined under slit lamp examination and PCR test of tear and corneal scraping specimens were performed at 1, 3, 5, 7, and 10th postinoculation day. The sensitivity of PCR with POL primer was 100% in tear and corneal scraping specimens. The sensitivity of PCR with POL primer and LAT primer were 80% and 100% respectively. PCR test is very useful diagnotic tool for the early diagnosis of HSK in rabbit model. In addition, PCR test with corneal scraping specimens provided better yield compared with tears(J Korean Ophthalmol Soc 42:137~144, 200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