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기반의 건설공사 품질 위험평가 및 예비비 추정 개념 모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quality risk assessment and reserve cost estimation based on BIM. The conceptual model consisted of Input, Design, Analysis, and Output Stage. 1) Input is a step of investigating risk factors that cause quality defects. 2) Design is a s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6(2) Vol. 26; no. 2; pp. 62 - 71
Main Authors 강현욱, 성현우, Kang, Hyunwook, Seong, Hyunw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quality risk assessment and reserve cost estimation based on BIM. The conceptual model consisted of Input, Design, Analysis, and Output Stage. 1) Input is a step of investigating risk factors that cause quality defects. 2) Design is a step of extracting material types, quantities, and unit prices using BIM and calculating direct construction costs. 3) Analysis selects important risk factors and estimates the reserve cost according to the reserve ratio. 4) Output is a step of including the estimated reserve cost for each risk factor in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statement. The usability was verified by selecting on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odel constructed in this way. Therefore, in order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the quantity and unit price of each material type were extracted from the drawings designed with BIM to estimate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Then, the risk factors causing quality defect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in case of occurrence of risk factors, the reserve cost ratio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and the corresponding reserve cost were estimated and included in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stat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BIM을 기반으로 품질위험평가와 예비비(보수·보강 비용)를 추정하기 위한 개념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개념 모델을 Input, Design, Analysis, Output Stage로 구성하였다. 1) Input은 품질하자를 유발하는 위험요인과 이를 보수·보강하기 위해서 지출된 비용 등과 같이 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2) Design은 BIM으로 작성된 도면을 기준으로 재료 종류, 수량, 단가를 추출하여 직접공사비를 산정한다. 3) Analysis는 Input에서 조사된 품질하자 유발 위험요인을 근거로 중요 위험요인을 선정하고 보수·보강을 위한 예비비 비율에 따라 예비비를 추정한다. 4) Output은 품질하자를 유발하는 중요 위험요인별로 추정된 예비비를 직접공사비 내역에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념 모델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BIM으로 설계된 도면에서 재료 종류별 수량과 단가를 추출하여 직접공사비를 산정하고 품질하자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을 조사 및 정립하였다. 또한 품질하자 유발 위험요인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보수·보강을 위한 예비비 비율과 그에 따른 예비비를 추정한 후 직접공사비 내역에 포함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BIM의 설계, 원가, 품질관리를 연계한 통합체계 구축과 원가정보가 결합된 5D의 구현을 위한 참고문헌으로 활용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0854013593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