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장사건 구제절차 현황과 개선방안 - 행정상 절차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보장사건 구제절차의 현황을 행정상 절차를 중심으로 확인하고 보다 나은 구제절차를 만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사회보장 관련 권리구제절차는 행정상 구제절차, 사법상 구제절차, 그 밖의 국내외 구제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회보장사건은 일차적으로 행정상 구제절차를밟는다. 이의신청, 심판청구 등 넓은 의미에서 행정심판을 청구하는 것이다. 행정을통한 구제절차는 사회보장 관련 개별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보험법 영역의 국민건강보험법, 국민연금법, 산업재해보상보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사회복지법제연구 Vol. 15; no. 1; pp. 111 - 146
Main Author 박우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회복지법제학회 30.04.2024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8667
2733-4430
DOI10.35589/SWLJ.2024.15.1.1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보장사건 구제절차의 현황을 행정상 절차를 중심으로 확인하고 보다 나은 구제절차를 만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사회보장 관련 권리구제절차는 행정상 구제절차, 사법상 구제절차, 그 밖의 국내외 구제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회보장사건은 일차적으로 행정상 구제절차를밟는다. 이의신청, 심판청구 등 넓은 의미에서 행정심판을 청구하는 것이다. 행정을통한 구제절차는 사회보장 관련 개별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보험법 영역의 국민건강보험법, 국민연금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공공부조법 영역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그리고 사회복지관련법 영역의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정한 불복절차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행정상 구제절차는 사법상 구제절차보다 간소하게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 가능하고 짧은 기간 내에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절차가 기본적으로 개별법에 따라 달리 규정되고 있어서 서로 다른 이의신청 및 특별행정신청 절차 간 체계화와 통합이 필요해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① 용어를 통일하고, ② 구제신청 창구를 일원화하거나 사건이송체계를 확립해야 하며, ③ 동일 분야 사건을 담당할 전담 기관을 지정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고, ④ 이러한 체계화를 바탕으로 일관된 통계를 산출해야 한다. ⑤ 또한 이의신청 제도의 역할을 재검토해 취지에 맞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문제를해결하는 종합적인 방식으로 중앙행정심판위원회와 시·도행정심판위원회를 통합하고일반행정심판과 특별행정심판 제도를 통합하여 하나의 기관 안에서 업무의 전문성을인정하여 분야별로 부를 나누어 업무를 처리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ministrative remedy procedures for social security cases in Korea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Among remedy procedures for social security cases, there are administrative procedures, judicial procedures, and oth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medy procedures. The majority of social security cases go through administrative remedy procedures. Rules and provisions for administrative remedies vary depending on the law. In this study, appeal procedures are examined by subject field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 National Pension Act,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for the field of social insurance law;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for the field of public assistance law; and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law. Administrative remedies have advantages over judicial remedies in that they provide simplified appeal procedure and results within a shorter period of time. The procedures are, however, stipulated by different fields of laws, and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zation and integration in managing the procedures. For process improvements, it is suggested to (1) unify terminologies, (2) unify the channels for appeals or create a case transfer system, (3) establish a system to designate an agency that takes full charge of handling cases in the same field, and (4) produce consistent statistics based on this systematization. (5) Also, reconsideration processes should be redesigned to become a meaningful procedure for claimant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ddressing these issues could be to integrate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with municip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s, and gene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s with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s agencies, and to divide the work into sectors within one institution considering the expertise required to handle the cases. KCI Citation Count: 0
ISSN:2093-8667
2733-4430
DOI:10.35589/SWLJ.2024.1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