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와 토빗회귀 모형을 이용한 전문건설기업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determinants of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by industry using the DEA model and the Tobit model. The analysis targets are 394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as of 2022. As a result of analysis of efficiency determinants using 12 company characteristics as in...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5(5) Vol. 25; no. 2; pp. 45 - 5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03.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Cover
Summary: |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determinants of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by industry using the DEA model and the Tobit model. The analysis targets are 394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as of 2022. As a result of analysis of efficiency determinants using 12 company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biggest problem for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was overall efficiency reduction due to rising labor costs. 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construction companies' loan regulations are severe, the debt ratio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Company size had a different impact by industry,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held, credit score, and total capital turnover had an effect only on some industries. This study presents results that are an advance on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strategically analyzes factor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However, it has limitations such as limiting the analysis to only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ies subject to external audit, insufficient number of companies subject to analysis by industry, and analyzing relative efficiency in the same category for each industry. 본 연구는 DEA 모형과 Tobit 모형을 이용하여 전문건설기업의 업종별 효율성과 효율성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22년도를 기준으로 한 394개 전문건설기업이다. 먼저 효율성 분석결과, 지반조성-포장공사업의 효율성이 주요 7개 업종 중 가장 낮게 나타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이 가장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철근-콘크리트공사업과 지반조성-포장공사업, 구조물해체-비계공사업은 매출액 효율성 대비 영업이익 효율성이 낮아 투입요소의 관리전략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12개 기업특성을 독립변수로 한 효율성 결정요인의 분석결과, 전문건설기업은 전반적으로 인건비 상승에 따른 효율성 감소가 가장 큰 문제였다. 또한 건설기업의 대출규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부채비율이 효율성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업종별 효율성 결정요인을 비교한 결과, 업종별 결정요인과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기업규모는 업종별로 다른 영향을 미쳤고, 보유업종수나 신용점수, 총자본회전율은 일부 업종에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전문건설기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의 진일보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외부감사 대상인 전문건설기업만을 분석대상으로 한정한 점과 업종별 분석대상 기업수가 부족한 점, 업종별로 동일한 범주에서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했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갖는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10857622082 |
ISSN: | 2005-6095 2465-9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