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콘텐츠 창작 교육을 위한 일본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최근 웹툰이 포함된 만화콘텐츠의 교육적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대학에서 만화콘텐츠 관련학과의 신설이 많아지고 있으나 교육과정 수립에 참고할 관련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기 발표된 미국 대학의 관련학과 교과과정 분석연구의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대학의 관련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국내 관련 학과에서 적용이 가능한 내용들을 도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은 기준에 의해 선정한 일본 내 세 개 대학을 설정한 분석기준에 따라 학교별 개별 분석과 개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종합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리서치 Vol. 9; no. 4; pp. 489 - 50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31.12.2024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2817 2671-8375 |
DOI | 10.46248/kidrs.2024.4.489 |
Cover
Loading…
Summary: | 최근 웹툰이 포함된 만화콘텐츠의 교육적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대학에서 만화콘텐츠 관련학과의 신설이 많아지고 있으나 교육과정 수립에 참고할 관련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기 발표된 미국 대학의 관련학과 교과과정 분석연구의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대학의 관련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국내 관련 학과에서 적용이 가능한 내용들을 도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은 기준에 의해 선정한 일본 내 세 개 대학을 설정한 분석기준에 따라 학교별 개별 분석과 개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종합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후 이미 발표된 미국 대학의 논문 분석 결과를 포함하여 국내 만화 관련 학과에서 교과과정 구성 시 고려하고 접목할 수 있는 교육 방향 관련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제언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국내 만화 콘텐츠 교육에 일조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Recently, as the educational demand for cartoon contents containing a webtoon has increased, new departments related to cartoon contents are increasing in universities, but research is insufficient related to refer to in establishing the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ed curriculum at universities in Japan to derive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related departments in Korea as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related curriculum analysis at universities in United states.
The analysis process is as follows. an individual analysis of selected three universities in Japan are conducted by the analysis criteria set, and then a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collected results of individual analyses is conducted. As final, Including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U.S. University in previously published paper,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direction that can be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the curriculum at a university in Korea are suggested.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basic study that can contribute to cartoon content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508-2817 2671-8375 |
DOI: | 10.46248/kidrs.2024.4.4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