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차보생태지역 농민 주도 산림 및 토지 복원 접근법(FMNR) 도입 주민의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국제협력단(KOICA)-월드비전(World Vision) 케냐 차보생태지역 복원기반 통합적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중심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는 케냐 차보생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FMNR(Farmer Managed Natural Regeneration) 도입 여부와 이행 정도가 주민의 환경보전 및 산림복원에 대한 기대 인식, 그리고 환경보호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FMNR의 지속가능한 구현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및 연대를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FMNR의 근본적 가치인 환경보전과 산림복원에 대한 인식이 실제 도입⋅이행 주체들에게 얼마나 내면화되고 개인적 가치관에 통합되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FMNR...
Saved in:
Published in | 국제개발협력연구, 17(1) pp. 81 - 104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개발협력학회
3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9620 2635-7135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케냐 차보생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FMNR(Farmer Managed Natural Regeneration) 도입 여부와 이행 정도가 주민의 환경보전 및 산림복원에 대한 기대 인식, 그리고 환경보호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FMNR의 지속가능한 구현과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및 연대를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FMNR의 근본적 가치인 환경보전과 산림복원에 대한 인식이 실제 도입⋅이행 주체들에게 얼마나 내면화되고 개인적 가치관에 통합되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FMNR 확대 및 효과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론: 현지 가구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FMNR 도입 및 이행 정도 가 환경보전 및 산림복원에 대한 기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Generalized Ordered Logit)으로 분석한다. 또한, 환경보호 활동 참여 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OLS)을 통해 추정한다.
연구결과: FMNR을 도입한 가구일수록, 또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며 실제 환경보호 활동에도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FMNR을 도입하고 이행 정도가 높은 가구는 산림복원으로 기대할 수 있는 편익이 오히려 낮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FMNR이 성공적으로 정착 및 확산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수익 창출 체계를 제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예컨데, 협동조합을 통한 임산물 공동판매, FMNR 기술 교육 및 이점 홍보, 소액 대출 등의 금융지원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Farmer Managed Natural Regeneration (FMNR) adoption and varying implementation levels on local resi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restoration, as well as their engagement in conservation activities, in the Tsavo ecosystem and dispersal area of Kenya. The analysis further aims to suggest strategie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FMNR, promotin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among residents.
Originality: By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implementing actors have internalized the core values of FMNR, namely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restora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FMNR can be more effectively expanded and integrated into the local context.
Methodology: Household survey data were employed to estimate how FMNR adoption and implementation intensity influence residents’ expectation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restoration, using a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In addition, we appli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MNR adoption and implementation level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Result: The findings indicate that households adopting FMNR, particularly those with higher levels of implementation, ten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articipate moe actively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However, they also showed a tendency to perceive the expected benefits of forest restoration as somewhat lower compared to non-adopters or those with lower FMNR involvement.
Conclusion and Implication: Strategies that establish long-term income-generating structures are essential for success and sustainability of FMNR. Organizing cooperatives for the joint sale of forest products, providing training on the benefits and techniques of FMNR, and offering microfinance support or improved market access can deliver tangible benefits to local communities, thereby reinforcing FMNR efforts in the Tsavo area.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05-9620 2635-7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