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난시를 보이는 소아에서 난시의 장기 변화

목적: 고도난시를 보이는 소아에서 난시의 장기적인 변화와 난시 진행과 관련된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서 초진 시 시행한 검사에서 2.0디옵터(diopters, D) 이상의 난시를 보이면서 5년 이상 외래에서 경과 관찰한 2세에서 10세 소아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초진 및 1년, 3년, 5년째 측정한 굴절검사값을 분석하였으며, 초진과 3년째 검사를 비교하여 난시값이 1.0 D 이상 증가한 경우 난시진행군, 그렇지 않은경우 비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6; no. 7; pp. 298 - 304
Main Author 손유빈(Yu Bin Son), 전혜신(Hyeshin Jeon), 최희영(Hee-young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7.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5.66.7.29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고도난시를 보이는 소아에서 난시의 장기적인 변화와 난시 진행과 관련된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서 초진 시 시행한 검사에서 2.0디옵터(diopters, D) 이상의 난시를 보이면서 5년 이상 외래에서 경과 관찰한 2세에서 10세 소아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초진 및 1년, 3년, 5년째 측정한 굴절검사값을 분석하였으며, 초진과 3년째 검사를 비교하여 난시값이 1.0 D 이상 증가한 경우 난시진행군, 그렇지 않은경우 비진행군으로 분류하여 난시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93명, 93안이 포함되었으며 평균연령은 4.6 ± 1.7세, 남아 42명, 여아 51명이었다. 5년 경과 관찰에서 환자군은 유의한 근시화와 난시값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초진 당시 근시가 있는 경우, 난시값이 비교적 작은 경우 난시의 진행이 유의하였다. 덧눈꺼풀이 있는 소아에서는 그렇지 않은 소아에 비해 난시 증가의 위험이 높았다. 결론: 2.0 D 이상의 난시를 보인 소아 중 특히 근시가 있거나 비교적 난시값이 작았던 소아에서 난시의 증가가 유의하였다. 소아의덧눈꺼풀은 난시 진행과 연관성을 보이므로 고도난시 소아 환자를 진료할 때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s in astigmatism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its progression in children with high astigmatism.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ediatric patients aged 2-10 years with astigmatism > 2.0 diopters (D)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5 years. Refractive errors were measured at the initial visit and at 1, 3, and 5 years thereafter.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changes in astigmatism over the first 3 years. Those who exhibited an increase in astigmatism > 1.0 D were categorized in the progressive group, whereas the remaining patients were categorized in the stationary group. Factors related to astigmatism prog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In total, 93 eyes from 93 patients were included, with an average age of 4.6 ± 1.7 years. Of the patients, 42 were male and 51 were female. In all patients, significant progression was observed in both myopia and astigmatism between the initial visit and the 5-year follow-up. In patients with myopia and relatively low initial astigmatism, astigmatism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The risk of astigmatism progressio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epiblepharon than in others. Conclusions: A significant progression of astigmatism was noted in children with myopia and those with relatively low initial astigmatism. Additionally, epiblepharon was associated with astigmatism progression. Therefore, the presence of epiblephar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children with high astigmatism.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5.66.7.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