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안구내이물로 유발된 후공막염 1예
목적: 외상성 안구 내 이물로 유발된 시신경부종을 동반한 후공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2세 남환이 못질 도중 좌안에 이물이 튀어 수상하여 내원하였다. 좌안의 세극등검사상 약 2 mm 각막 열상과 홍채결손및 수정체 혼탁 소견이 있었다. 유리체출혈로 인해 안저의 정확한 관찰이 어려웠다. 좌안 수정체제거술, 유리체절제술, 안구내이물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유리체강 내에서 직경 약 1 mm 정도의 자기성 이물을 제거하였다. 1주 후 외래 내원 시 시신경부종 및 망막혈관굵어짐이 관찰되었다. 약 2개월간 스테로이드 경구약을 감량...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6; no. 5; pp. 243 - 24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외상성 안구 내 이물로 유발된 시신경부종을 동반한 후공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2세 남환이 못질 도중 좌안에 이물이 튀어 수상하여 내원하였다. 좌안의 세극등검사상 약 2 mm 각막 열상과 홍채결손및 수정체 혼탁 소견이 있었다. 유리체출혈로 인해 안저의 정확한 관찰이 어려웠다. 좌안 수정체제거술, 유리체절제술, 안구내이물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유리체강 내에서 직경 약 1 mm 정도의 자기성 이물을 제거하였다. 1주 후 외래 내원 시 시신경부종 및 망막혈관굵어짐이 관찰되었다. 약 2개월간 스테로이드 경구약을 감량하며 복용하였으며, 시신경부종이 호전되어 약을 중단했을 때, 급작스러운 안통이 발생하였다. 당시 심한 섬모체충혈이 있었고, B-scan 검사상 후공막의 비후 소견이 확인되었다. 후공막염과 그에 동반된시신경부종 진단하 스테로이드경구약을 재처방하여 12주에 걸쳐 감량하였다. 이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후 최대교정시력 0.9 이며, 수술 후에도 시신경부종이나 후공막염 재발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 안구내이물 제거 수술 후 안통 및 섬모체충혈이나 시신경부종 등의 소견이 있을 때 후공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겠다. Purpose: To describe a case of posterior scleritis accompanied by optic disc edema following the surgical removal of a traumatic intraocular foreign body.
Case Summary: A 32-year-old man presented to the hospital after suspecting that a foreign body had entered his left eye while nailing. Slit lamp examination revealed a 2-mm corneal laceration, iris defect, and lens opacity. Lensectomy, vitrectomy, and intraocular foreign body removal were subsequently performed. A magnetic foreign body approximately 1 mm in diameter was extracted from the vitreous cavity. One week after surgery, during an outpatient visit, optic disc swelling and retinal vessel thickening were observed. Oral steroids were initiated and tapered over 2 months. After discontinuing the medication, the patient experienced acute ocular pain and severe ciliary body hyperemia, and B-scan imaging showed thickening of the posterior ocular coat.
The diagnosis was posterior scleritis with optic disc swelling, and oral steroids were prescribed and tapered over 12 weeks.
Following the secondary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no recurrence of posterior scleritis was noted.
Conclusions: Posterior scleritis should be considered in cases presenting with ocular pain, ciliary body hyperemia, or optic nerve swelling after intraocular foreign body removal surger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5.66.5.2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