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가계부채 그리고 가계저축률의 추이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 가계저축률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2000년대 이후 완만하지만 꾸준하게 상승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1990년대 후반에는 모든 집단의 저축률이 하락했기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하락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모든 집단의 저축률이 상승했기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상승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첫째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화는 하락요인이 아니라 상승요인에 가까워지고 있다. 놀라운 것은 가장 최근인 2019~2023년 자료를 보면, 60대의 저축률이 20~50대의 저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재정학연구 Vol. 17; no. 4; pp. 47 - 94
Main Author 윤종인(Jong-In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30.11.2024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한국재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8362
2734-0236

Cover

Table of Contents:
  •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자료와 문제 설정 Ⅳ. 연구방법 Ⅴ. 고령화와 가계총저축률의 추이 Ⅵ. 가계부채와 가계총저축률의 추이 Ⅶ. 가계총저축률의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 Ⅷ. 2019~2023년 분기 저축률의 분해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