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가계부채 그리고 가계저축률의 추이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 가계저축률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2000년대 이후 완만하지만 꾸준하게 상승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1990년대 후반에는 모든 집단의 저축률이 하락했기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하락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모든 집단의 저축률이 상승했기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상승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첫째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화는 하락요인이 아니라 상승요인에 가까워지고 있다. 놀라운 것은 가장 최근인 2019~2023년 자료를 보면, 60대의 저축률이 20~50대의 저축...
Saved in:
Published in | 재정학연구 Vol. 17; no. 4; pp. 47 - 9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30.11.2024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한국재정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8362 2734-0236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 가계저축률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2000년대 이후 완만하지만 꾸준하게 상승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1990년대 후반에는 모든 집단의 저축률이 하락했기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하락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모든 집단의 저축률이 상승했기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상승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첫째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화는 하락요인이 아니라 상승요인에 가까워지고 있다. 놀라운 것은 가장 최근인 2019~2023년 자료를 보면, 60대의 저축률이 20~50대의 저축률보다 높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고령화가 가계저축률의 하락이 아니라 상승을 초래할 수도 있다. 둘째 신규 부채는 없고 기존 부채의 원리금을 상환하는 가구의 경우 다른 가구에 비해 저축률이 높았으며, 이들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가계저축률은 뚜렷하게 상승했다. 이제 가계부채는 가계저축의 방식으로 정착된 듯하다.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why the household savings rate fell sharply in the late 1990s and rose slowly but steadily since the 2000s. When households were divided by age or debt position, the household savings rate fell in the late 1990s because the savings rates of all groups fell, and after the 2000s, the household savings rate rose because the savings rates of all groups increased. However, changes began to appear after the 2000s. First, as time passes, aging is becoming more of an upward factor rather than a downward factor. In other words, since the savings rate of people in their 60s was higher than that of people in their 20s to 50s from 2019 to 2023, aging may cause an increase in the household savings rate. Second, households that had no new debt and were repaying the principal and interest of existing debt had a high savings rate, and as their proportion increased, the household savings rate rose significantly. Household debt now seems to have become established as a method of household saving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6-8362 2734-02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