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경제적 지표와 우울증 분석: 2018년부터 2022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economic indicators (economic growth rate, employment rate, inflation) on individuals' mental health, particularly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stability and mental health. Data on economic indicators an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산업과 과학 Vol. 3; no. 3; pp. 29 - 35
Main Authors 우성민, 김봉현, Sung-Min Woo, Bong-Hy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중소기업융합학회 01.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51-2476
DOI10.23153/AI-Science.2024.3.3.0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economic indicators (economic growth rate, employment rate, inflation) on individuals' mental health, particularly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stability and mental health. Data on economic indicators and depression were collected from public data portals and national statistics, and then refined and analyzed using Python and Pandas. Data visualization was performed using Seaborn and Matplotlib. The result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instability and increased depression rates, with a tendency for the number of depression cases to rise during periods of inflation and declines in economic growth. Additionally, certain age groups and genders exhibited higher depression rates, with social isol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identified as major contributing fact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mental health policy development, and further research considering various social factors is needed. 본 연구는 경제적 지표(경제 성장률, 취업률, 물가)가 개인의 정신 건강, 특히 우울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 안정성과 정신 건강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데이터포털과 국가통계 포털에서 경제 지표와 우울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Python과 Pandas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정제 및 분석하였다. Seaborn과 Matplotlib을 사용해 데이터의 시각화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경제적 불안정성은 우울증 발생률 증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률 감소 시 우울증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또한, 특정 연령대와 성별에서 우울증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함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정신 건강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9840919185
ISSN:2951-2476
DOI:10.23153/AI-Science.2024.3.3.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