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 관련 인지적 변인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기개념 및 자기효능감이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기초해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정신적 웰빙에 각각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한 직렬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G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하지...
Saved in:
Published in | 심리상담 및 모래놀이치료(구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 6; no. 3; pp. 51 - 7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31.12.2024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9395 2799-4481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 관련 인지적 변인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기개념 및 자기효능감이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기초해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정신적 웰빙에 각각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한 직렬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G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하지 않은 응답과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하고 총 16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개념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유의미한 직렬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유의미한 직렬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신 및 타인과 환경에 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 및 평가인 개인내적 요인(자기개념,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 요인(사회적 지지)의 역동적인 과정이 대학생의 정신적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lated cognitive variables and ment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mental well-be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at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would have a significant serial mediating effects when college students'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ffect mental well-being, respectivel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62 university students over the age of 19 at university located in G area, with 160 valid responses analyzed after excluding two incomplete or unfaithful respon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ser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mental well-being. Second, a significant ser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mental well-be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ynamic process of intrapersonal factors (self-concept, self-efficacy,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factors (social support) related to one’s subjectiv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others and the environment can improve the ment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13-9395 2799-44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