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패턴 감지를 위한 댐 계측기 관리기준 수립
Dams are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supplying various types of water demands, and their maintenance is of paramount importance. However, as many dams continue to age, strengthening technical support and ensuring stability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come critical. Ensuring stability re...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7; no. 11; pp. 921 - 933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수자원학회
01.11.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99-8746 2799-8754 |
DOI | 10.3741/JKWRA.2024.57.11.921 |
Cover
Loading…
Summary: | Dams are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supplying various types of water demands, and their maintenance is of paramount importance. However, as many dams continue to age, strengthening technical support and ensuring stability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come critical. Ensuring stability relies on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dams; thus, various sensors are installed or embedded, and extensive research on predicting dam anomalies using these sensors is actively underway. However, most studies analyze data under the assumption that all sensors are functioning normally, without considering potential sensor malfunctions. Additionally, the absence of clear management criteria and definitions of normal patterns for each sensors makes it challenging to differentiate between abnormal dam behavior and sensor malfunc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new definitions of abnormal patterns for sensors and establish management criteria for each type of sensor. We identified abnormal pattern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efined general management criteri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historical dam sensor data. The proposed criteria were applied to five dams in South Korea to assess sensor functionality. The abnormal pattern detection criteria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inspection standards for dam sensors and are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more reliable dam management through continuous refinement and calibration with each inspection. 댐은 각종 용수를 공급하는 주요 기반시설로 그 유지관리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대부분 댐들은 노후로 인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강화된 기술적 지원과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안정성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 안정성 확보는 결국 댐의 현재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로 해당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계측기가 매설 혹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한 댐의 이상거동 예측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계측기 이상 유무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데이터가 계측기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는 가정 하에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또한, 계측기에 대한 관리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일부 계측 항목의 경우 정상 범위에 대한 정의가 없어, 데이터 분석 결과 댐의 이상 거동과 계측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측기 이상패턴을 새로이 정의하고 이에 대한 관리기준을 계측기 별로 제시하였다. 이상패턴 규명은 기존 연구 사례를 토대로 제시하였으며, 실제 댐 계측기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관리기준을 정의하였다. 제시한 관리기준은 국내 5개 댐에 적용하여 계측기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예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상패턴 감지 기준은 향후 댐 계측기에 대한 점검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점검마다 지속적인 보정을 통해 고도화하여 안정적인 댐 관리에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05132400686 |
ISSN: | 2799-8746 2799-8754 |
DOI: | 10.3741/JKWRA.2024.57.11.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