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함을 호소하는 중1 여학생의 모래놀이치료의 단일 사례연구 -‘Freedle의 심리적 발달 7단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무기력을 호소하는 13세 여중생의 모래놀이치료 단일 사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기력을 호소하는 13세 여중생에게 적용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을 Freedle(2006)의 모래놀이치료의 심리적 발달 7단계에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Freedle(2006)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많은 내담자들이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각 단계를 거치며 심리적 발달을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Freedle(2006)이 제시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의 심리적 발달 7단계는 ① 문제 제시 ② 접근 ③ 어두움(죽음 등)의 표현 ④ 희망으로 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심리상담 및 모래놀이치료(구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 6; no. 2; pp. 34 - 50
Main Author 이혜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31.08.2024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9395
2799-44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무기력을 호소하는 13세 여중생의 모래놀이치료 단일 사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기력을 호소하는 13세 여중생에게 적용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을 Freedle(2006)의 모래놀이치료의 심리적 발달 7단계에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Freedle(2006)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많은 내담자들이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각 단계를 거치며 심리적 발달을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Freedle(2006)이 제시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의 심리적 발달 7단계는 ① 문제 제시 ② 접근 ③ 어두움(죽음 등)의 표현 ④ 희망으로 넘어가는 전환 ⑤ 전체성 및 온전함 ⑥ 반대되고 어두운 것들의 연결 및 통합 ⑦ 새로운 관점으로 주변을 바라보기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접수 면담 및 심리검사를 토대로 총 14회기 중 10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4개월간 실시되었으며, 모래상자에 나타난 놀이의 테마를 3인의 슈퍼바이저의 지도하에 분석하여 모래놀이치료 과정에 나타난 심리적 발달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사례의 여중생은‘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Freedle(2006)이 제시한 심리적 발달 7단계에 따라 심리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in which Sand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a 13-year-old middle school girl who complained of lethar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applied to a 13-year-old middle school girl complaining of lethargy by applying it to Freedle's (2006) seven stag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Sandplay therapy. Freedle(2006) reported that many cli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develop psychologically through each stage of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The seven stag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presented by Freedle(2006) are ① Problem presentation ② Approach ③ Expression of darkness (death, etc.) ④ Conversion to hope ⑤ Wholeness and completeness ⑥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opposition and darkness. ⑦ It’s about looking at your surroundings from a new perspective.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based on intake interviews and psychological tests, and Sandplay therapy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out of a total of 14 sessions for 4 months. The themes of play shown in the sandbox were analyzed under the guidance of three supervisors to determine the results of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We looked at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in this case experienced psyc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seven stag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suggested by Freedle(2006) during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KCI Citation Count: 1
ISSN:2713-9395
2799-4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