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장비 원격 작업자 위험 인지도 측정 및 분석을 위한 방법론

Safety is a crucial factor for the smooth progress of construction projects. Construction workers' vigilance significantly impacts construction safety, especially in teleoperation situations, but there is limited knowledge on this topic.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to measure vigilance, w...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6(2) Vol. 26; no. 2; pp. 3 - 11
Main Authors 신승민, 안민기, 박문서, 안창범, Shin, Seungmin, An, Mingi, Park, Moonseo, Ahn, Changbu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Safety is a crucial factor for the smooth progress of construction projects. Construction workers' vigilance significantly impacts construction safety, especially in teleoperation situations, but there is limited knowledge on this topic.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to measure vigilance, work productivity, and cognitive load of remote workers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em, and confirms its feasibility through experiment. A virtual environment for tower crane teleoperation is set up, and the complexity of the remote interface is designed in detailed levels. An experiment with nin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is effective in measuring and analyzing the vigilance, work productivity, and cognitive load of remote workers,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hese implications provide a foundation for interface improvement studies aimed at enhancing productivity and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an be utilized in user-friendly interface design research in other fields. 건설산업의 안전성은 건설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건설작업자의 위험 인지도는 건설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향성은 원격 작업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반면, 이와 관련한 지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건설 원격 작업자의 위험 인지도, 작업 생산성, 인지 부하를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며 실험을 통해 이의 실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타워크레인 원격 조종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원격 인터페이스의 객체 정보 제공 정도를 세부적으로 설계한 뒤 9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시된 방법론이 원격 작업자의 위험 인지도, 작업 생산성, 인지 부하를 측정 및 분석하기에 용이함을 발견하였으며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및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개선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며, 이외 분야의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설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0850409640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