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목적지의 정체성이 관광체험, 장소애착,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목적: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 방문을 결정하는 목적지 정체성을 선행변수로 관광체험, 장소애착,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연구를 통해 연구개념의 이해는 물론 측정변수와 실증조사를 위하여 환경에 맞게 도출하여 설문지 구성하였다. 실증연구는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로 전국적 네트워크가 구축된 조사업체에 의뢰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목적과 모형에 따라서 제시된 관광목적지의 정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융합관광콘텐츠연구 Vol. 10; no. 3; pp. 185 - 198
Main Authors 이정은(Jung Eun Lee), 서경도(Gyeong D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융합관광콘텐츠학회 31.12.2024
The Convergence Tourism Contents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5646
2508-5654
DOI10.22556/jctc.2024.10.3.18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 방문을 결정하는 목적지 정체성을 선행변수로 관광체험, 장소애착,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연구를 통해 연구개념의 이해는 물론 측정변수와 실증조사를 위하여 환경에 맞게 도출하여 설문지 구성하였다. 실증연구는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로 전국적 네트워크가 구축된 조사업체에 의뢰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목적과 모형에 따라서 제시된 관광목적지의 정체성이 관광체험, 장소애착,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인 가설검증 결과에서 나타난 모형 적합도 각각의 지수들은 통계적 기준 값에 적합하였다. 연구목적에 제시된 목적에서 설정된 4개의 연구가설 모두는 유의한 결과로 도출되어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 관광객이든 잠재적인 관광객이든 상관없이 관광객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관광지가 목적지로서 가지는 성격인 정체성이다. 목적지의 정체성은 관광객이 목적지에 관광체험과 지역에 장소에 대한 애착으로 귀결된 만큼 상호간의 인과관계가 형성은 물론 최종적인 결과로서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인과관계가 형성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ourism experience,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by using destination identity, which determines tourist visits to a tourism destination, as an antecedent variable, and to understand its meaning.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in parallel.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e research concept was understood, and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empirical research were derived to fit the environment, and a questionnaire was created.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requesting a nationwide network research company to conduct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nd model, the identity of the proposed tourism destination was found to b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experience,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Each index of model fi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statistical standard value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ll four research hypotheses set in the purpose presented in the research purpose were derived as significant results and were all accepted. Conclusion: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tourists or potential tourists, what determines tourist behavior is the identity of the tourist destination as a destination. The identity of the destination is the result of tourists' attachment to the destination and the tourist experience, and as a result, a causal relationship is formed between them, and as a final result, a causal relationship is formed in the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2508-5646
2508-5654
DOI:10.22556/jctc.2024.10.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