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드라마의 통섭 양상 연구 -1960년대 문학의 서사화를 중심으로
This study examines the drama "Still in Marronnier Park"(2005) to examine the strategies by which the drama communicates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of the 1960s to the public. The drama focuses on three characters to characterize the historical upheavals of the 1960s and the literary re...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4; pp. 209 - 21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7.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examines the drama "Still in Marronnier Park"(2005) to examine the strategies by which the drama communicates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of the 1960s to the public. The drama focuses on three characters to characterize the historical upheavals of the 1960s and the literary response. In particular, the drama tackles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time head-on by introducing characters who are real-life politicians. Therefore, the drama explains historical events through narrators, interviews, and video footage, and at the same time, it helps us understand how political and social events affected the inner lives of Koreans. Through the narratives of Kim Ji-ha and Kim Seung-ok, the drama also conveys how Korean literature responded to unjust realities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1960s. Kim Ji-ha's rebellion against those in power and Kim Seung-ok's depiction of her inner landscape are used to portray the response of literature to political reality. Although the drama has the limitation of being somewhat typical, it raises meaningful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literature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1960s and how the memory of the 1960s has left a trace in the minds of Koreans. 본 연구는 드라마 <지금도 마로니에는>(2005)으로 드라마가 1960년대의 한국사회와 문학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전략을 검토한다. 이 드라마는 세 명의 인물에 주목하여 1960년대의 역사적 격변과 문학의 대응을 형상화한다. 특히 실존 정치인인 캐릭터를 등장시켜 당대의 역사적 사건을 정면으로 다룬다. 따라서 드라마는 해설자와 인터뷰, 그리고 영상자료를 통하여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동시에, 정치사회적 사건들이 한국인의 내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김지하와 김승옥의 서사를 통해서 드라마는 1960년대 한국의 문학이 정치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부당한 현실에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전달한다. 권력층에 정면으로 반항하는 김지하와 내면의 풍경을 그려내는 김승옥의 방식으로 정치적 현실과 문학의 대응을 영상서사로 그려낸다. 이로써 이 드라마는 다소 전형적이라는 한계를 지니지만, 1960년대의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문학의 의미는 무엇이었으며, 또한 한국인의 내면에 1960년대의 기억이 어떠한 흔적을 남겼는가에 관한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진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24843246614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