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공정계획 자동화와 시각화를 위한 가산 그리드 공정계획 기법(CSM)과 CSM기반 소프트로직 알고리즘 개발 연구

Schedule management is one of pivotal project success factors during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apid scheduling and controlling since the existing planning techniques require considerable amount of manual work and manager's judgment in a construction projec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3(4) Vol. 23; no. 4; pp. 65 - 77
Main Authors 최흥순, 문성현, 지석호, Choi, Heungsoon, Moon, Seonghyeon, Chi, Seok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7.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Schedule management is one of pivotal project success factors during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apid scheduling and controlling since the existing planning techniques require considerable amount of manual work and manager's judgment in a construction project.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new scheduling method and algorithm for automating and visualizing the planning process, which is called Countable-grid scheduling method. In this method, if the scope of work is defined via a visualized tool, the schedule plan is crea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and workable conditions of each activity. The location of the work for each date can be visualized in grid-based approach. Moreover, the work schedule can be upda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ogress.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in construction projects via case study with sample data.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automating the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process. 공정관리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성공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공정계획 기법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상당한 수작업과 관리자의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속한 공정계획과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공정계획을 자동화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계획 기법과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가산 그리드 공정계획 기법(CSM)이라고 한다. 이 기법은 시각화된 도구를 통해 작업 범위를 정의하면 각 작업의 생산성과 작업 가능 조건에 따라 일정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날짜별 작업의 위치를 그리드 기반 접근방식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건설프로젝트의 샘플 데이터를 가지고 사례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공정관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건설 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깃으로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21643417548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