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체계 구축방안 연구
Electronic records, characterized by their inherent volatility and instability, necessitate sustainable preservation measures to ensure their long-term accessibilit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instituted a selection system for preservation formats tailored predominantly for document-type el...
Saved in:
Published in | 기록학연구 Vol. 79; no. 79; pp. 343 - 38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록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7941 2671-7891 |
DOI | 10.20923/kjas.2024.79.343 |
Cover
Summary: | Electronic records, characterized by their inherent volatility and instability, necessitate sustainable preservation measures to ensure their long-term accessibilit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instituted a selection system for preservation formats tailored predominantly for document-type electronic records. However, this system falls short in accommodating other record types such as audiovisual records. This study endeavors to broaden the applicability of the existing system, with a concentrated focus on image-type electronic records, and to formulate foundational guidelines for their long-term preservation. In South Korea, image-type electronic records rank as the second most prevalent category following document-type. The image-type electronic records are the most basic form of audio-visual records, and research on this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discussions on other audio-visual records. Consequently, this research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selection system for preservation formats specifically for image-type electronic records. This system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prompt and efficient evaluation of preservation format suitability, even in the context of emerging image formats. The efficacy of this system was validated through its application to extant image formats, resulting in the selection of TIFF, JFIF, and PNG as the optimal preservation forma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offer valuable insights and practical reference points for future preservation format evaluations within the field of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전자기록물은 그 특성상 휘발성과 불안정성이 높으며, 이를 장기간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국가기록원은 이를 위해 전자기록물 보존포맷 선정체계를 수립하였으나, 현재 보존포맷 선정체계는 문서 유형의 전자기록물만을 그 범위로 하고 있어 시청각기록물 등 다른 유형의 기록물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이미지 유형 전자기록물을 중심으로 기존 체계의 적용 범위 확장과 이미지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에 대한 기초적인 가이드라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 이미지 유형 전자기록물은 문서 유형 전자기록물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가진 유형이다. 이미지 유형은 시청각기록물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이에 대한 연구는 향후 다른 시청각기록물에 관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지 유형 전자기록물에 대한 보존포맷 선정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새로운 이미지 포맷의 등장에도 해당 체계를 활용하여 보존포맷의 적합성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에서 제안된 보존포맷 선정체계를 실제 이미지 포맷에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TIFF, JFIF, PNG 포맷이 보존포맷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맷 평가의 실질적인 참고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08684230292 |
ISSN: | 1229-7941 2671-7891 |
DOI: | 10.20923/kjas.2024.79.3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