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장 재배 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A plant factory is a facility that creates an artificial environment in a controlled space and produces plants systematically through automated facilities. However, automation in the cultivation proces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in plant factories. Thi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3(4) Vol. 23; no. 4; pp. 57 - 64
Main Authors 정민철, 김한돈, 김지민, 최정민, 장현승, 조소운, Jung, Mincheol, Kim, Handon, Kim, Jimin, Choi, Jeongmin, Jang, Hyounseung, Jo, So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7.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 plant factory is a facility that creates an artificial environment in a controlled space and produces plants systematically through automated facilities. However, automation in the cultivation proces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in plant factories. This causes the problem of an increase in operating costs due to the input of a large number of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automation in the cultivation process of plant factories. The target plant factory to be analyzed was selected, and the break-even point analysis method was used by comparing the cost required compared to the operating period. As a result, the break-even point was analyzed to be 3.4 years when automation was introduced into six processes for plant cultivation.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automation is excellent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when the target plant factory has been operated for more than 3.4 year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introducing autom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plant factories. 식물공장은 통제된 공간에서 인공적인 환경을 조성과 자동화 설비를 통해 식물을 계획적으로 생산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식물공장은 내부 환경 제어 기술에 비해 재배 과정의 자동화 도입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는 다수의 근로자 투입으로 인한 운영비용 상승의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재배 과정에 자동화 도입 전후를 비교하여 경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첫째, 자동화 도입이 필요한 작업을 선정하기 위해 식물공장의 작업 과정을 파악하였다. 파악된 작업 과정은 재배 식물의 생육 과정을 중심으로 나열하고 자동화를 도입할 작업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작업에 방안별 투입과 산출을 비교할 경제성 평가 방법을 설정하였다. 셋째, 방안별 소요비용의 계산에 필요한 변수를 설정하였다. 넷째, 방안별 소요비용의 산정을 위한 계산 식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업별 손익분기점을 분석하고 전체 작업에 대한 손익분기점을 통해 운영 기간에 따른 자동화 도입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식물 재배를 위한 6가지 작업에 자동화를 도입할 경우 손익분기점은 3.4년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상 식물공장을 3.4년 이상 운영할 경우 자동화 도입은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 자동화 도입에 따른 손익분기점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외 다양한 식물공장의 자동화 도입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수행될 연구는 자동화 도입에 적절한 식물공장의 기준을 선정하고 효율적인 자동화 도입 방안을 수립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21643410542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