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절펄스광선조사가 눈물막 지질층 두께 및 안구건조증에 미치는 효과

목적: 건성안 환자에서 조절펄스광선조사가 미치는 임상 효과 및 눈물막지질층 두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성안에 대한 주관적인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 중 마이봄샘기능부전 소견을 보이며, 눈물막파괴시간이 10초 이하인 2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에 대한 조절펄스광선조사는 시술 당일, 15일, 45일 총 3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시술 전후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안구표면염색점수,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및 눈물막지질층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9; no. 12; pp. 1103 - 1107
Main Author 길태영(Tae Young Gil), 배지현(Gi Hyun Bae), 곽주영(Joo Young Kwag), 현주(Joo Hyun), 최진석(Jin Seok Choi), 박규홍(Kyu Hong Pak), 정성근(Sung Kun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1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건성안 환자에서 조절펄스광선조사가 미치는 임상 효과 및 눈물막지질층 두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성안에 대한 주관적인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 중 마이봄샘기능부전 소견을 보이며, 눈물막파괴시간이 10초 이하인 2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에 대한 조절펄스광선조사는 시술 당일, 15일, 45일 총 3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시술 전후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안구표면염색점수,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및 눈물막지질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절펄스광선조사 시술 후 눈물막파괴시간은 3.7 ± 1.2초에서 4.4 ± 2.1초로 증가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3), 쉬르머검사 및 안구표면염색 점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p=0.01). OSDI는 39.5 ± 17.5점에서 30.4 ± 18.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1). 눈물막지질층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49). 결론: 조절펄스광선조사 시술은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안구표면염색점수 및 주관적인 건성안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intense regulated pulse light (IRPL) and changes in tear film thickness in dry eye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25 patients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who had subjective dry eye discomfort and whose tear film break-up time (TBUT) was < 10 second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IRPL three times on days 1, 15, and 45. TBUT, Schirmer 1 test results, cornea staining score with fluorescein,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and lipid layer thicknes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7 ± 1.2 s to 4.4 ± 2.1 s after IRPL (p = 0.03). Schirmer 1 test and cornea staining scores changed significantly (p < 0.01 and p = 0.01, respectively). OSDI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39.5 ± 17.5 points to 30.4 ± 18.7 points (p = 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pid layer thickness was observed (p = 0.49). Conclusions: IRPL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to improve TBUT, Schirmer 1 test scores, cornea staining scores, and subjective dry eye symptoms.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