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각디자인학과 명칭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연구

중국의 시각디자인 교육은 시대적으로 “도안(图案)”에서 “상업미술(商业美术)”으로, 또한 “장식미술(装潢美术)”에서 “평면디자인(平面设计)“, 그리고 오늘날의 ”시각전달디자인(视觉传达设计)“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학명’의 변경은 중국의 역사적 배경과 서구문화 사이의 문화적 충돌에서 비롯된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한다. 중국 서적장정 전통의 색채가 강한 ‘장황미술(装潢美术)’을 의미가 같은 ‘ 장식미술’ 대신에 사용한 것은 그 단적인 예이다. 또한 오늘날 디자인교육의 특징인 디자인과 예술의 확실한 경계에 반해 ‘예술디자인’이라는 범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리서치 Vol. 17; pp. 360 - 370
Main Author 이병주(Lee, Byoung J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30.12.2020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중국의 시각디자인 교육은 시대적으로 “도안(图案)”에서 “상업미술(商业美术)”으로, 또한 “장식미술(装潢美术)”에서 “평면디자인(平面设计)“, 그리고 오늘날의 ”시각전달디자인(视觉传达设计)“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학명’의 변경은 중국의 역사적 배경과 서구문화 사이의 문화적 충돌에서 비롯된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한다. 중국 서적장정 전통의 색채가 강한 ‘장황미술(装潢美术)’을 의미가 같은 ‘ 장식미술’ 대신에 사용한 것은 그 단적인 예이다. 또한 오늘날 디자인교육의 특징인 디자인과 예술의 확실한 경계에 반해 ‘예술디자인’이라는 범주에서 평면디자인이나 시각전달디자인을 포함시키는 것도 중국만의 독특한 현상이다. 이러한 명칭을 보다 체계적으로 살펴본다면 교육의 이념과 방법, 교육 형태, 즉 수업의 내용 및 형식의 변화 발전 과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 시각디자인 교육의 명칭변화를 단초로 중국 시각디자인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규정해봄과 동시에 향후 국내 시각디자인교육과 비교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China'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has changed its name due to changes in the conditions of art educa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ulture. Historically its primitive design has been made into commercial art, again from decorative art to graphic design, today'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change of 'academic name' reflects the change in values resulting from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China's historical background and Western culture. This is the case of "Jianghuang art," which has a strong nuance of Chinese book binding tradition, instead of "decorative art," which has the same meaning. It is also a unique phenomenon in China to include graphic design or visual transfer design in the category of 'art & design'. The closer look at these names will reveal the idea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form of education, the content of classe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changes in forms. In this view, this paper aims to be the basic data of future domestic visual design educ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while defining the paradigm shift of visual design education in China.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d-research.or.kr/paper/paper_list.php?index_no=17
ISSN:2508-2817
2671-8375
DOI:10.46248/kidrs.2020.4.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