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점액종에 의한 중심망막동맥폐쇄 1예
목적: 중심망막동맥폐쇄 진단 후에 심장점액종이 발견되어 흉부외과에서 수술적 제거 후 경과관찰 중인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7세 여자 환자가 갑작스럽게 발생한 좌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안과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좌안 시력 안전수동, 안압 15.4 mmHg 측정되었으며, 좌안에 상대적 구심동공운동 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검사에서 앵두반점 및 창백안저가 관찰되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검사상 황반부의 부종이 관찰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에서 초기 및 후기에 맥락막 및 망막 혈관의 혈류 충만 장애 소견이 관찰되었고, 이를 바탕으...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8; no. 4; pp. 478 - 48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4.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중심망막동맥폐쇄 진단 후에 심장점액종이 발견되어 흉부외과에서 수술적 제거 후 경과관찰 중인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7세 여자 환자가 갑작스럽게 발생한 좌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안과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좌안 시력 안전수동, 안압 15.4 mmHg 측정되었으며, 좌안에 상대적 구심동공운동 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검사에서 앵두반점 및 창백안저가 관찰되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검사상 황반부의 부종이 관찰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에서 초기 및 후기에 맥락막 및 망막 혈관의 혈류 충만 장애 소견이 관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좌안의 중심망막동맥폐쇄로 진단하였다. 신경외과에서 시행한 뇌혈관조영술에서 안동맥은 정상적으로 조영되었고, 혈관폐쇄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맥폐쇄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심장내과와 신경과에 의뢰하였고, 심장초음파검사에서 좌심방에 4.46 × 2.09 cm의 심장점액종이 발견되었으며, 뇌 자기공명영상검사 후 급성 뇌경색을 진단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급성기 뇌경색 치료로 전신적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였고 흉부외과에서 좌심방점액종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심장점액종 절제술 시행 후 1개월째 시행한 형광안저혈관조영술상 망막의 혈액순환이 호전되었으나 시력은 개선되지 않았고, 3개월째 시행한 빛간섭단층촬영에서 황반부 부종은 감소했으나 망막층의 위축과 망막전막이 관찰되었다.
결론: 중심망막동맥폐쇄는 눈뿐만 아니라 전신적 질환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질병이다. 고혈압이나 심장질환, 당뇨 및 경동맥협착 등의 다양한 기저질환이 중심망막동맥폐쇄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자들은 심장점액종에 의해 망막중심동맥이 폐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urpose: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diagnosed with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caused by cardiac myxoma who underwent surgery to remove the myxoma.
Case summary: A 47-year-old woman came to our clinic presenting with a sudden decrease of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At the first visit, left eye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15.4 mmHg.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as observed in the left eye. On fundus examination, a pale retina and cherry-red spot were observed at the posterior pole.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acular edema was found. On fluorescein angiography and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delayed blood circulation of the retina and choroid was found at early and late stages. Cerebral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the neurosurgery department and showed no occlusion of the ophthalmic artery. Cardiac ultrasonography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re performed. On cardiac ultrasonography, 4.46 × 2.09 cm cardiac myxoma was found. Resection of the cardiac myxoma was conducted in the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Multiple cerebral infarcts were detected by brain imaging, and antithrombotic treatment was administered. After one month, blood circulation in the retina and choroid was observed in fluorescence angiography, but there was no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At the 3-month follow-up visit, macular edema was decreased, but retinal atrophy and epiretinal membrane were observ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clusions: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is a disease related to one’s general condition. We experienced this case of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caused by cardiac myxoma.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025.2017.58.4.020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