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분노 표현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과 청소년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This paper illustrated the use of focus groups with adolescents and youth experts to enhance knowledge of anger, anger expression, and its coping strategies. Nine youth experts and 9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alysis of the findings identified 12 meaningful elements, 34 sub-elements, a...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1) Vol. 19; no. 1; pp. 445 - 462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1.445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paper illustrated the use of focus groups with adolescents and youth experts to enhance knowledge of anger, anger expression, and its coping strategies. Nine youth experts and 9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alysis of the findings identified 12 meaningful elements, 34 sub-elements, and 138 descriptions. The meaningful elements were as follow: the lack of stable care, anger-provoking situations, a relationship between distorted thoughts and ang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different types of anger expression, suppressed anger, difficulty of anger control, youth efforts to control anger, needs to implement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psychological mechanism of anger, effective ways to cope with anger, suggested by youth experts, needs of alternative anger management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various anger management alternatives, including ICT based cognitive-behavior anger management programs.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분노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청소년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분노정서, 분노표현, 분노조절 및 대처 등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9명, 청소년 9명, 두 그룹을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면접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내용은 일반적인 질적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고, 총 12개의 범주, 34개의 하위범주, 13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청소년 분노표현 및 대처에 관한 분석 결과 도출된 총 12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안정적 돌봄의 결여, 분노 촉발 상황들, 왜곡된 사고와 분노의 관계, 분노로 인한 신체 및 심리적 증상, 분노표현의 다양한 형태들, 억제된 분노, 분노조절의 어려움, 분노조절을 위한 청소년의 시도, 적절한 분노 표현법에 대한 갈망, 분노의 심리 메커니즘, 분노조절을 위한 전문가의 효과적인 방식들, 새로운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요구에 직면 등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분노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전문 상담 및 치료적 접근,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반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지지체계의 확충, 청소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분노대처 전문 교육 및 워크숍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09469054445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1.4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