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Among the visual sensibility studies, many studies of color or movement have been done, but not much have been done about whether it can evoke sensibility in static form itself. Therefore, in this study, visual attention by AOIs(Area of Interests) combined with color based on three basic forms was 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4) Vol. 19; no. 4; pp. 102 - 110
Main Authors 황미경, 권만우, 박민희, Hwang, Mi-Kyung, Kwon, Mahn-Woo, Park, Min-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4.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mong the visual sensibility studies, many studies of color or movement have been done, but not much have been done about whether it can evoke sensibility in static form itself. Therefore, in this study, visual attention by AOIs(Area of Interests) combined with color based on three basic forms was analyzed using eye tracking, and the results were visually expressed through Heat Map and Gaze Plot. In addition,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ach color and for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hromatic color form was more visual attention than the achromatic color form and warm color form was higher mean than cool color, so the visual attention was greater.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quantitative method which is easy to interpret objectively the design element that is easily interpreted subj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more further stud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are presented that can identify differences in visual attention from various colors and forms, it can be u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basic design. 시각과 관련된 감성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과 결합하여 영역 설정(AOI)에 의한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Heat Map과 Gaze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채색의 형태가 무채색의 형태보다 시각적 주의가 크며, 난색의 형태가 한색의 형태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시각적 주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객관적인 해석이 용이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부터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기초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14456457206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4.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