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types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that greatly affec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related to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y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o...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2) Vol. 19; no. 2; pp. 629 - 63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2.629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types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that greatly affec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related to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y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on the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against the depression was positive(+) and the depression had a cor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for the public sector was,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mor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for the private sector wa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enior life, the government,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other companies should work together so that they can make a reasonable plan to create the employment of the private sector for jobs of the elderly. 본 연구 목적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인 일자리 참여 유형이 우울감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노인 일자리 참여와 우울감은 정(+)적인 영향이,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공익형 일자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게, 민간형 일자리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익형 일자리에서는 매개변수인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매개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민간형 일자리에서는 우울감이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가 유의하여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의 일자리에 대한 민간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을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09469054817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2.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