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임 과학교사의 PCK와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의 비교에 대한 사례연구

본 연구에서는 초임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탐색하고, 수업에서 실제적으로 PCK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사의 PCK와 과학 수업 실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차 초임 과학교사 두 명 이었으며, 수업관찰, CoRe(Content Representation)기반 질문지, 교사질문지, 반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CK의 구성요소인 과학교수지향, 과학교육과정에대한 지식과 신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22; no. 5; pp. 293 - 304
Main Author 박계화(Park Kye Hwa), 정영란(Chung Young L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1.10.2018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8.22.5.2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초임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탐색하고, 수업에서 실제적으로 PCK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사의 PCK와 과학 수업 실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차 초임 과학교사 두 명 이었으며, 수업관찰, CoRe(Content Representation)기반 질문지, 교사질문지, 반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CK의 구성요소인 과학교수지향, 과학교육과정에대한 지식과 신념, 교수전략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학습자에 대한 지식과 신념,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에 대해 분석하였다. 두 교사의 PCK에 대해 알아본 결과 배교사의 PCK는 과학교수지향의 경우 수업실제와 다르게 발현되었고, 교수전략, 학습자,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은 교사가 원래 가지고 있는 PCK가 수업실제에서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였다. 유교사의 경우 과학교수 지향이 수업실제와 일치하였고, 교수전략, 학습자, 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이 교수지향의 영향을 받아 구성되었고, 수업실제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었다. 교사의 PCK는 교사의 개인적인 성향과 학생을 가르친 경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보였다. 그리고 학교의 자유로운 분위기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임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PCK가 주제의특성에 맞게 형성되고, 수업실제에서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교사연수,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자유로운 학교 분위기등이 조성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o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to analyze how PCK is actually expressed in the classroo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achers’ PCK and science class pract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no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CoRe (Content Representation)-based questionnaire, teachers’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s suggested by Magnusons et al. (199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the components of PCK, including the orientation toward teaching science,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cience curriculum, teaching strategies, learners,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CK of the, one of the two subjects’ (Teacher Bae) orientation toward teaching science was expressed differently in the actual classroom. Other PCK components, such as knowledge and belief of teaching strategy, learner, and evaluation were not expressed fully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other subject (Teacher Yoo), the direction of science teaching was consistent with the actual practice of in the classroom. Also, the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eaching strategy, learner, and evaluation were influenced by an orientation toward teaching science, which was reflected in class practice. The teacher's PCK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teacher's personal orientation and teaching experience. Moreover, less constrained and free atmosphere of the school played a significant role. Therefore, by encouraging teacher training, teachers’ autonomy in classrooms, and comfortable school atmosphere, PCK of the no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 can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and fully manifested in the actual class practice. KCI Citation Count: 2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8.22.5.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