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수업에서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

본 연구는 수학 수업에서 일반적인 수학적 담론과 공적 담론 이외의 다른 담론들에 주목하여,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이 수학교실담론에서 하는 역할과 그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 연구는 한 명의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역함수에 대한 총 4차시의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화를 분석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로,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이 나타난 상황에 비추어 대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 담론들이 하는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수학 수업에 수학적 담론 외의 다양한 담론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30; no. 1; pp. 153 - 175
Main Authors 조진우(Cho, Jin Woo), 김연(Yeo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02.2020
대한수학교육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7733
2288-8357
DOI10.29275/jerm.2020.02.30.1.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수학 수업에서 일반적인 수학적 담론과 공적 담론 이외의 다른 담론들에 주목하여,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이 수학교실담론에서 하는 역할과 그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 연구는 한 명의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역함수에 대한 총 4차시의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화를 분석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로,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이 나타난 상황에 비추어 대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 담론들이 하는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수학 수업에 수학적 담론 외의 다양한 담론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은 그 자체로 수학적 내용을 가르치는 목적을 수행하진 않지만, 수학적 담론과 모종의 관계를 맺음으로써 수학 학습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수학적 담론과 사적 담론에 대한 분석이 수학 수업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그리고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non-mathematical discourse and private discourse as a way to identify the dynamics of interaction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data for this study comprised a series of four lessons about the inverse function of a high school teacher. The findings report that mathematics instruction includes diverse kinds of discourse. Also, non-mathematical discourse and private discourse have their own roles and features and have combinations with mathematical discourse for the purposes of mathematics lessons. Based on results, the analysis of non-mathematical discourse and private discourse w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roles of different kinds of discours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7733
2288-8357
DOI:10.29275/jerm.2020.02.30.1.153